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2030 자영업자, 직장인보다 '한잔' 더 찾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한화생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0대 자영업자와 직장인 중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자영업자가 ‘술 한잔’을 찾는 경우가 더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화생명 빅데이터팀은 보험 고객 1000만명, 카드사의 2300만명 통계, 자영업자·직장인 카페 글 150만건, 심층 인터뷰 300명 등의 자료를 토대로 6일 이같은 분석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빅데이터에 따르면 소주와 맥주, 혼술 등 ‘한잔’과 관련된 단어가 언급된 비율이 직장인은 9.4%, 자영업자는 15.4%로 나타났다. 이런 단어를 ‘스트레스’와 함께 언급한 비율도 직장인은 1.7%, 자영업자는 5.8%였다. 한화생명은 “20·30세대 자영업자는 직장인보다 간 관련 질병이 더 많이 발생했다”는 점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하는 통계로 제시했다.

20·30대 관심사는 직장인의 경우 재무관리(32.0%)와 건강관리(23.0%)순이었다. 자영업자는 건강관리(28.0%)와 재무관리(27.0%)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패턴에서도 인삼 등 건강식품 구매에 쓴 돈이 직장인은 연간 15만5000원, 자영업자는 38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는 직장인보다 입원 대비 통원 횟수가 적었다. 입원을 1회 한 경우 자영업자는 1.5회 통원, 직장인은 1.8회 통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은 “출근이 정해져 있고 오래 쉬기 어려운 직장인이 자영업자보다 통원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일단 입원할 경우 보험금 지급액은 자영업자가 173만원으로 직장인(140만원)보다 더 컸다. 한화생명은 “자영업자는 한 번 병원을 가면 치료가 길어지거나 질병의 정도가 악화한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은 자영업자(28.3%)가 직장인(14.5%)의 약 2배에 달했다. 자영업자는 예·적금과 주식 등을 선호하는 반면 직장인은 연금을 활용하는 비중이 컸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