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TF이슈] 한국당 의원 주최, 5·18 공청회 파문…여야4당 "국민께 사죄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자유한국당 김진태·이종명(왼쪽) 의원은 8일 국회에서 5·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 특수부대가 개입했다고 주장해온 극우 논객 지만원(왼쪽 두 번째) 씨를 초청해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나온 발언이 파문이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 논란…나경원 "당 공식 입장 아니다"

[더팩트ㅣ이철영 기자] "5·18 유공자라는 괴물 집단을 만들어 우리 세금을 축내고 있다."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들에 의해서 폭동이 민주화 운동으로 된 겁니다."

자유한국당 김진태·이종명 의원은 8일 국회에서 5·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 특수부대가 개입했다고 주장해온 극우 논객 지만원 씨를 초청해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나온 발언이 파문이다.

육군 대령 출신의 이 의원은 공청회에서 "80년 광주폭동이 10년, 20년 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에 의해 민주화운동이 됐다"며 "다시 (폭동으로) 뒤집을 때"라고 주장했다.

또한, 공청회에 참석한 김순례 한국당 의원은 "조금 방심한 사이 정권을 놓쳤더니 종북 좌파들이 판을 치며 5·18 유공자라는 괴물 집단을 만들어 우리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 씨 역시 연사로 나서 북한군 개입설을 거듭 제기한 데 이어 "5·18은 북괴가 찍어서 힌츠페터를 불러 독일 기자 이름으로 세계에 방송하게 한 것"이라며 "전두환은 영웅"이라고 주장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일제히 한국당과 공청회에 참석한 의원들을 비난했다. 한국당의 공식적인 사과도 동시에 요구했다.

더팩트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에서 5.18단체회원들이 항의를 하는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한국당에 묻는다. 5·18 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날조하고 유공자를 모욕한 것이 당의 공식 입장인가"라며 "만일 공식 입장이 아니라면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을 당장 출당 조치하고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원내대표는 국민께 사죄하라"고 날을 세웠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한국당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과 지만원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망언으로 역사에 기록될 인물"이라며 "'전두환은 영웅', '광주폭동', '종북 좌파가 만든 괴물 집단'이라니 눈과 귀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당은 궤변, 선동, 왜곡을 일상화하는 집단이다. 역사도, 인물도, 철학도 빈곤한 한국당은 우길 것을 우기라"고 덧붙였다.

홍성문 평화당 대변인도 "한국당 김진태·이종명 의원은 5·18 광주학살 원흉인 전두환을 영웅시하고 그 후예임을 스스로 인정한 행사를 치렀다"며 "한국당 지도부는 이들 두 의원과 상식 이하의 동조 발언을 한 김순례 의원과 입장을 같이 하는지 명확한 답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만약 이에 대한 답이 없이 침묵한다면 국민은 한국당 지도부도 지만원의 허무맹랑한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고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군사독재정권에 뿌리를 둔 한국당의 태생적 한계는 어쩔 수 없나 보다"며 "이쯤 되면 지만원 씨는 한국당의 비선실세"라고 꼬집으며 "다음 주 초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했다.

더팩트

당 의원들의 공청회 파문이 확산하자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가는 9일 "일부 의원들의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한국당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높이 평가한다"고 진화에 나섰다. /이덕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당 지도부는 일단 이번 사안과 관련해 선을 긋는 모습이다. 공청회에서 제기된 '5·18 민주화운동은 폭동'이라는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파문이 확산하자 보도자료를 내고 "최근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일부 의원들의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한국당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영삼 정부 때 5.18특별법이 제정(1995.12.21)되어 민주화운동으로 역사적 가치가 재조명되어 오늘에 이르렀듯이 한국당은 광주시민의 희생과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헌신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 원내대표가 공청회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지만, 5·18 왜곡 등을 둘러싼 공방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