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1 (토)

충남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 전국최저…"세종시 인구유출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전·세종·충남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 전국 평균 밑돌아

가장 비싼 곳 대전 중구 중앙로 상업용 대지 1천240만원/㎡

연합뉴스

시·도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대전·세종·홍성=연합뉴스) 정윤덕 김준호 박주영 기자 = 대전·세종·충남지역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1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50만 필지) 공시지가에 따르면 대전, 세종, 충남의 상승률이 각각 4.52%, 7.32%, 3.79%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9.42%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충남의 상승률은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세종시로 인구 유출과 토지시장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 때문이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국 약 3천309만 필지의 개별공시지가 산정에 활용될 뿐 아니라 각종 조세·부담금 부과 및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등으로도 활용된다.

공시지가는 13일 국토부 홈페이지(www.molit.go.kr) 또는 해당 토지가 소재한 시·군·구의 민원실에서 열람하고 공시가격에 이의가 있으면 다음 달 14일까지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국토부는 접수된 이의신청에 대해서는 기존 감정평가사가 아닌 다른 평가사가 재검토를 벌인다.

조정된 공시지가는 4월 12일 재공시된다.

연합뉴스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 충남

국토부가 12일 발표한 내용을 보면 충남지역 표준지 4만1천595필지의 공시지가 상승률은 3.79%(지난해 4.71%)에 그쳤다.

전국 평균 9.42%의 절반도 안 되는 데다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국토부는 금산 복수∼대전 광역도로 정비사업과 천안 성성지구 준공, 아산 신도시 2단계 사업 등 상승 요인이 있었으나 세종시로 인구 유출과 토지시장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등 영향으로 상승률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했다.

시·군 가운데는 당진시(2.13% 상승)가 테크노폴리스 개발사업 취소와 철강 경기 침체 탓에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충남지역 표준지 1㎡당 평균가격은 5만3천854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표준지의 79.4%인 3만3천34필지의 1㎡당 공시지가가 1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비싼 곳은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의 상업용 대지(558㎡)로, 1㎡당 974만원이다.

가장 싼 곳은 1㎡당 340원인 논산시 양촌면 오산리의 임야(34만6천611㎡)다.

◇ 대전

4.52% 오른 대전 역시 전국 평균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상승률(3.82%)보다 0.7%포인트 높아졌으나 17개 시·도 중 충남, 인천, 전북에 이어 네 번째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유성 광역복합환승센터 개발과 봉명 카페거리 조성사업, 옛 남한제지 부지 도시개발사업, 선화·용두·목동 주택 재개발사업 등이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가 4% 이상, 6% 미만 상승 지역으로 분류됐으나 대덕구와 중구는 4% 미만 상승했다.

대전지역 표준지 6천712필지의 1㎡당 평균가격은 24만980원이다.

1㎡당 1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인 곳이 3천648필지(54.4%)다.

가장 비싼 땅은 중구 중앙로의 상업용 대지(152.1㎡)로, 1㎡당 1천240만원이다.

가장 싼 곳은 동구 신하동 임야(6만8천231㎡)로, 1㎡당 490원이다.

◇ 세종

그나마 7.32% 상승률을 보인 세종이 전국 평균에 가장 근접했다.

국토부는 기반시설이 확충되고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신도심) 성숙에 따라 인구가 유입됐으며 서울∼세종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는 것 등을 상승 요인으로 꼽았다.

세종지역 표준지 2천262필지의 1㎡당 평균가격은 13만6천459원이다.

94.6%인 2만140필지는 1㎡당 100만원 미만이다.

가장 비싼 곳은 한누리대로(나성동)의 상업용 대지(2천56.8㎡)로, 1㎡당 536만원이다.

전의면 유천리의 임야(2만2천413㎡)는 1㎡당 2천200원으로 가장 싸다.

cobr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