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으로 자영업자 위기"라고 말하면 세상물정 모르는 '태극기부대(우파)냐'는 원색적인 비난이 쏟아진다." 진짜 악재는 최저임금보다 임대료"라고 표현하면 '문빠(문재인 추종자)냐'는 비판을 받는다. 자영업의 위기 요인을 찾아 대안을 제시하는 이들은 별로 없다. 역대 정부도 자영업을 살려낼 묘수를 찾아내지 못했다. 자영업이 벼랑에 몰렸다. 엎친 데 덮인 격으로 살벌한 진영논리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다. 답이 보이지 않는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자영업계의 슬픈 자화상을 살펴봤다.
자영업 시장은 경쟁과 분쟁으로 곪아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에서 말한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자영업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다른 한편에서 맞받아친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보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줄었다. 최저임금 인상 때문이 아니다." 자영업 시장과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싸곤 이처럼 상반된 의견이 나온다. 같은 문제를 두고 극단적인 견해가 부딪히는 이유는 뭘까. 많은 이들이 그 이유를 '진영 논리'에서 찾는다. 정치적 이해관계의 틀에서 경제이슈를 해석하는 게 문제라는 얘기다.
실은 둘 다 맞는 얘기다. 자영업 시장에 최저임금 인상보다 심각한 문제가 숱하게 많은 건 사실이다. 그렇다고 최저임금 인상이 가뜩이나 힘든 자영업자의 감정을 건드렸다는 걸 부인할 수도 없다.
두 의견 중 틀린 점도 있다. 무엇보다 "최저임금이 자영업자를 힘들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는 이른바 '(경제적) 보수진영'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가령, 자영업 침체가 오래가는 건 비싼 땅값, 이를테면 '임대료'와 상관관계가 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자영업 시장에 타격을 입혔다는 주장을 일종의 '진보진영'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늘었다는 데 뭐가 문제냐"라고 거세게 반박하는 것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자영업자가 고용한 직원의 추이가 통계에 100% 잡힌다고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직 자영업자인 박지호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컨설턴트는 "직원을 여러명 두고 있던 자영업자가 줄고, 1명을 쓰는 신규 자영업자가 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역대 정부와 우리 사회는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꼬집어 말하면 '자영업을 살리겠다'고 수없이 외쳤던 역대 정부들은 지금까지 한 일이 거의 없다. 흔들리는 자영업계의 고질병을 고치지도 못했고, 사회적 안전망을 만들어 놓지도 못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혹여 장사가 잘 돼도 걱정이다. 식당이든 잡화상이든 매장에 손님이 끊이지 않으면 건물주가 나타나 임대료를 올리거나 스스로 매장을 운영하겠다면서 으름장을 놓기 일쑤다. 10년이라는 보장기간이 있지만, 보장기간이 끝나면 십중팔구 쫓겨난다고 봐야 한다.
'맘상모(맘편히 장사하고픈 상인 모임)'의 한 관계자는 "장사가 잘 되는 점포라면 건물주가 터무니없이 임대료를 올려 받을 수 있고, 혹은 건물가치를 높여서 매각할 수 있다"면서 "건물주 입장에선 장사 잘 되는 임차인에게 꼬박꼬박 임대료를 받는 것보다 훨씬 남는 장사"라고 하소연했다.
역대 정부 지금껏 뭘 했나
전형적인 한바탕 봄꿈 같은 의견이다. 사회 구조를 통째로 바꾸지 않는 한 좋은 일자리를 찍어낼 수 있는 정부는 없다. 또 다른 경제전문가들은 "규제완화와 노동유연화를 통해 일자리를 늘려야 자영업 편중현상이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노동유연화는 어차피 제로섬 게임이다. 누군가는 직장에서 밀려나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자영업 시장을 찾을 수밖에 없다.
규제를 완화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자는 주장에도 한계가 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규제 전봇대를 뽑아버리겠다고 선언했던 이명박 정부가 만족할 만한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한 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다.
문제는 책상에 앉아 공허한 주장을 펼쳐놨던 경제전문가들처럼 역대 정부도 '돈 푸는 대책'에 천착해 효과적인 정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탁상공론'의 아픈 결과물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근혜 정부도 다르지 않았다. 공약엔 경제민주화를 내걸었지만 당선 후엔 대출금을 지원하는 데에만 몰두했다. '자영업자의 임금근로자 전환을 지원하겠다' '상가권리금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내놓기도 했지만 '대안 없는 약속'일 뿐이었다. 대출에 치중된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자영업 육성책은 결국 부작용만 낳았다. 자영업자들의 빚만 눈덩이처럼 불어났기 때문이다. 일례로 자영업자가 가장 많은 도ㆍ소매업종의 경우 예금은행 대출금은 2008년 1분기 61조여원에서 지난해 3분기 113조여원으로 두배가량 늘었다.
문재인 정부는 다를까. 안타깝게도 눈에 띄는 정책은 없다. 현 정부 역시 '경제민주화'를 내걸고 세부 산업별 자영업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최저임금 하나에 발목 잡혀 곤욕을 치르고 있다. 아울러 '추경을 통한 자금지원책'을 꾀했다는 점에서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돈만 주는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도 실패했다. 자영업자 직접 자금 지원, 세무조사 유예, 구직지원금 지급, 자영업자 전용 상품권 발행 등 역시 결국은 자금지원책이나 다름없다. 그나마 지난해 상가임대차보호법을 자영업자들에게 조금 유리하게 개정한 게 성과라면 성과다.
진영논리에 빠져 남 탓만 해서야
이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단 하나, 머리를 맞대는 거다. 맘상모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자영업자들의 문제는 단순히 그들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미래의 나와 내 가족의 일일 수도 있다. 문제도 매우 복합적으로 꼬여 있다. 법이면 법, 정책이면 정책, 교육이나 사회분위기까지도 바꿔야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거라 본다. 사회가 나아가고자 하는 큰 틀을 잡고 토론과 조율, 설득과 양보를 통해 방향성을 잡아 나간다면 정말 상인들이 맘편히 장사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