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KT "생활권 미세먼지 알려드려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KT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고, 미세먼지 플랫폼 개방을 통해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이 8일 광화문 KT사옥에서 에어맵 코리아 앱을 소개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T가 사용자 맞춤형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에어맵 코리아' 애플리케이션(앱)을 공개했다.

에어맵 코리아 앱은 KT가 구축한 2000여개 사물인터넷(IoT) 측정망으로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한다.

KT는 18일 에어맵 코리아 앱을 통해 국민 누구나 미세먼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에어맵 코리아는 KT가 IoT 솔루션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사회공헌 활동이다

에어맵 코리아는 생활권에 근접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의 경우 500여개 측정소가 간격 1㎢ 내외로 구축됐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은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날 같은 시간대임에도 지역별 수치가 두 배 이상 차이났다”며 “생활권 미세먼지 정보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KT는 앞으로 500개 측정소를 추가 구축하고 이동형 관측센서 7000여개도 추가해 총 1만대 측정망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기질 관측기가 부착된 굳브로의 스마트 안전모를 KT 현장 직원에게 배포, 전국 각지 미세먼지 데이터를 수집한다.

KT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빨래, 운동, 세차 등 미세먼지 수치별 활동 정보도 제공한다. 향후 관련 기관과 협력해 등산로, 공원 입구에 미세먼지 신호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유동인구와 공공정보를 결합, 안전 보행로 등도 제시한다. KT는 데이터 정확도를 위해 한국대기환경학회와 협업하고 있다.

KT는 에어맵 플랫폼을 개방하고 내·외부 플랫폼과 연동해 생태계를 확대한다. 자체 인공지능(AI)서비스 기가지니와 연결해 AI스피커·올레tv에서도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한다. 또 LG전자·신성이엔지 등 제조사와 협력해 미세먼지 수치에 따라 공기청정기나 공조기를 조절해 에너지 효율화까지 꾀한다.

KT는 5세대(5G)이동통신이 상용화되면 보다 많은 IoT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비즈니스 모델 또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은 “5G 시대에는 센서와 다른 기능이 연계돼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KT는 정교한 관측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활용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국민에게 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지난해 12월부터 UN환경계획(UNEP)과 에어맵 코리아 프로젝트 글로벌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