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문 대통령 ‘5·18 망언’ 비판 “나라의 근간 무너뜨리는 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 회의서 첫 직접 언급

“국회·정치권 일각 왜곡·폄훼…민주화 역사와 헌법정신 부정”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지금 국회와 정치권 일각에서 5·18민주화운동을 폭동이라거나 북한군이 남파됐다는 등의 주장을 하며 왜곡·폄훼하는 것은 우리 민주화 역사와 헌법 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면서 “결국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나라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이 자유한국당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의 ‘5·18 망언’에 대해 직접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회 스스로 부끄러워해야 할 자기부정이기도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망언 당사자에 대한 한국당의 징계조치가 미흡하다는 비판이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에서 5·18 역사에 대한 왜곡과 훼손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자유민주주의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각기 다른 생각에 대한 폭넓은 표현의 자유와 관용을 보장한다”면서도 “표현의 자유와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거나 침해하는 주장과 행동에까지 허용될 수는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너무나 많은 희생을 치렀고 지금도 아픔이 가시지 않은 민주화운동을 대상으로 오직 색깔론과 지역주의로 편을 가르고 혐오를 불러일으켜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는 행태에 대해 국민들께서 단호하게 거부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내달 7일 전체회의를 열어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의원 등을 포함한 국회의원 징계안을 심의키로 했으나, 상정안건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 7대 종단 지도자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열고 “우리 선조들이 꿈꾸었던 나라는 진정한 민주공화국이다. 국민 모두 골고루 잘살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나라였다”면서 “국민과 함께 이 꿈을 꼭 이루고 싶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다음주에 열릴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비핵화와 북·미관계 정상화에서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