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탄력근로 단위기간 1년 관철" 중기중앙회장 후보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26대 중기중앙회장 후보 합동토론회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하는 데 합의한 가운데 제26대 중소기업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한 5명의 후보들이 “국회 통과 과정에서 이를 1년으로 늘리겠다”고 공언해 ‘탄력근로제’가 중기중앙회 선거전에서도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후보자 공개토론회에 나선 이재한(56) 한용산업 대표, 김기문(64) 제이에스티나 회장, 주대철(64) 세진텔레시스 대표, 이재광(60) 광명전기 대표, 원재희(63) 프럼파스트 대표(이상 기호순) 등 5명의 후보들은 중소기업계의 기존 입장인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1년’을 통과시키겠다며 한 목소리로 외쳤다. 경사노위의 합의 결과는 국회가 탄력근로제 관련 법 개정 방향을 논의하는 기초가 된다. 그러나 중소기업계 입장을 국회에 적극 전달해 업계의 숙원인 ‘1년’이 관철되도록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재한 후보는 “경사노위가 탄력근로 단위 기간을 6개월로 합의했지만 아직 국회 논의 과정이 남아있다”면서 “(중앙회장이 되면) 법 개정 단계에서 1년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김기문 후보는 “24시간 조업하는 업종은 근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면서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나 일본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1년으로 하는 것처럼 한국도 1년으로 늘려야 하며 기본적으로 일하고자 하는 기업과 근로자는 일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대철 후보는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은 악법 중 악법이며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 후보는 “대다수 기업이 1월부터 12월까지를 단위로 결산하는데 왜 탄력근로 단위만 6개월이냐”면서 “머리 깎을 땐 깎고 투쟁할 땐 투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광 후보는 “업종마다 성수기가 있고 비수기가 있는데다 하청 기업들은 대기업과 공기업이 발주하면 납기를 맞춰야 하는 만큼 탄력근로 기간은 1년으로 확대해야 한다”면서 “노동계 때문에 안 된다고 하면 깃발을 들고 맞불을 놓겠다”고 말했다. 원재희 후보는 “한국 최저임금이 선진국보다 높고 최근 수년간 중소기업 인건비 증가액이 당기순이익을 초과한다”면서 탄력근로 단위 기간이라도 1년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후보는 이밖에 △최저임금 동결 △중기 전용 금융기관 설립 △중앙회장 권한 축소 △중기 수출확대 지원 △인력 미스매치 해소 등에 대해서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남북경협 재개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김기문 후보가 “제2, 제3의 개성공단을 해주, 남포, 나진·선봉에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자 주대철 후보는 “해주나 남포는 안되고 비무장지대(DMZ)를 개발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재광 후보는 “개성 재가동이 최우선이고 제2, 제3공단 건설과 DMZ 모두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중기중앙회장 선거는 오는 28일 중기중앙회관에서 열린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1위와 2위가 결선투표를 치러 임기 4년의 최종 승자를 가린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