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전주 금융중심지 선정…도시 인프라 구축 선행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북도청서 ‘전북 혁신도시 특화발전 토론회’ 열려

뉴스1

20일 오후 전북 전주시 전북도청에서 전라북도와 국민연금공단의 공동주최로 열린 '전북혁신도시 특화발전 모델 구축 토론회'에서 좌장인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가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2019.2.20/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주=뉴스1) 이정민 기자 = “금융중심지 선정을 위해 호텔과 컨벤션 등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도록 전북도가 먼저 나서야 한다.”

전북도청 중회의실에서 20일 개최된 ‘전북 혁신도시의 금융도시 발전 전망 및 과제’의 주제로 열린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이같이 제안했다.

이날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전북 혁신도시가 금융도시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과제와 금융중심지 정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정희준 전주대학교 교수와 이유태 부경대학교 교수가 발제한 뒤 온기운 숭실대학교 교수와 박덕배 성균관대 겸임교수, 윤경호 매일경제 논설위원, 최성근 머니투데이 논설위원 등 금융전문가 4명이 토론에 참여했다.

이들은 제3금융중심지 선정에 관련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윤경호 논설위원은 “전주가 금융중심지라는 인식을 심는 게 중요하다”며 “그러려면 금융 관련기관 등 집적화가 이뤄져야 하는 데 낙후된 전주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금융중심지 선정에 앞서 호텔이나 교육·문화 등 정주 여건을 갖출 수 있도록 전북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며 “국민연금공단은 금융기관이 전주에 모이도록 아이디어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성근 논설위원은 금융중심지 선정을 위한 로드맵 등 전북도와 연금공단의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은 “수도권 금융전문가들은 균형발전논리에 의한 금융중심지 선정에 전주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본다”며 “이를 반박하기 위한 깊은 고민이 필요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어 “공단이 지역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로드맵을 짜는 게 우선이고 금융도시 발전에 리더 역할을 해야한다”며 “하지만 당장 5년, 10년 뒤에 대한 로드맵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전북연구원이나 전북대학교 등 관계기관과 공단이 협업해 금융중심지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뉴스1

20일 전북 전주시 전북도청에서 열린 '전북혁신도시 특화발전 모델 구축 토론회'에서 송하진 전북도지사, 김성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송재호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2019.2.20/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덕배 교수는 전북의 강점을 내세워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박 교수는 “앞서 금융중심지로 선정된 서울이나 부산은 개인적으로 실패했다고 생각한다”며 “서울은 공간적으로 금융도시가 조성될 입지가 부족했고 부산은 공기업 집적화가 돼버렸다”고 진단했다.

그는 “두 도시를 반면교사 삼아 금융기관이 응집할 수 있도록 전북도와 공단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전북만의 강점이 무엇인지, 앞서나가지 말고 손에 잡히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했다.

좌장으로 나선 온 교수는 “올해는 전북에서 가장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이날 토론회는 다음 달 제3금융중심지 결정과 관련해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후원하고 전북도와 국민연금공단이 공동 주최했다.
ljm1927@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