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기 3시간30분·열차 60시간 소요…장단점 고심
숙소 '메트로폴' 유력…'멜리아'·'영빈관' 가능성도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이유지 기자 =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교통편과 숙소는 가시화되어가는 분위기이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보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21일 외교가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개최지인 베트남 하노이까지 교통편으로 항공기를 이용할지, 열차를 이용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숙소로 어느 곳을 찾을지 조차도 일부 좁혀지긴 했으나 단정하긴 어렵다.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하노이까지 이동하는 수단으로는 비행기와 북한 특별열차가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최종 결정이 나지 않았다. 앞서 도착한 북한 측 실무대표단은 노이바이 국제공항의 시설을 점검하고, 중국 국경이 맞닿아있는 랑선성 지역을 방문해 기차역과 도로 상태를 시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편을 이용할 경우 김 위원장은 전용기인 '참매 1호'(IL-62M)를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평양과 하노이간 직선거리는 약 2760㎞로 참매의 항속거리가 약 4828㎞에 달해 운항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약 3시간30분 가량 소요돼 효율적이라는 예상이다.
앞서 제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개최지인 싱가포르 센토사섬의 경우 평양과의 직선거리가 약 4700㎞이기에 중국 측 민항기를 이용했으나, 베트남의 경우 비교적 짧기에 전용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참매 1호가 1980년대에 생산돼 연식이 있고, 북한 내에 경험이 많은 조종사가 부족해 장거리 운항에 따른 안전 우려가 있다는 점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에 또 한 번 중국 항공기를 빌려 중국 지원을 바탕으로 회담에 나섰다는 점을 선전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을 경유하는 특별열차를 이용하는 것은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꼽혀 왕복 중 한 번은 열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육로 이용은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과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중국 대륙의 개혁·개방 성과와 베트남의 개혁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편도로 60시간 이상이 소요돼 효율성이 떨어지고 경호에 품이 많이 든다는 점, 오랜시간 평양을 비워야 한다는 점은 단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경유국인 중국이 교통 통제 등 배려를 해줘야 하나 '춘절'(春節·중국의 설 명절) 연휴 특별수송기간과 겹치면서 교통량이 증가해 당국도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숙소로는 하노이 시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이하 메트로폴)과 멜리아 호텔이 거론되고 있다. 김 위원장의 '집사'로 불리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 북한 측 실무대표단은 하노이에 도착한 16일부터 21일까지 5일 내내 메트로폴 호텔을 찾아 보안·시설 등을 점검했다.
이들은 멜리아 호텔 또한 수차례 방문, 점검하는 모습을 보여 초기에 유력 언급됐으나 미국 측 백악관 일행이 숙소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어 메트로폴 호텔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이미 실무진이 묵고 있는 베트남 정부 게스트하우스 영빈관이 숙소로 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6일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이용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 초기에 회담장으로 언급됐던 국제컨벤션센터(NCC) 인근 JW메리어트 호텔에 머물 것으로 알려졌다.
mainta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