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남도, 민간 항공기 초도 정비사업 본격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항공서비스(KAEMS) 민간 항공기 초도 정비 입고행사 개최
정비 위해 해외로 나갔던 항공기, 이제부터 국내에서 정비 가능해


파이낸셜뉴스

경남도가 21일 사천 한국항공서비스(KAEMS)에서 ‘민간 항공기 초도 정비 입고행사’를 개최하고 있다./사진=경남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천=오성택 기자】 경남도가 항공MRO법인(KAEMS)을 통해 민간항공기 정비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경남도는 21일 사천 한국항공서비스(KAEMS)에서 ‘민간 항공기 초도 정비 입고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문승욱 경남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한 정·재계 및 항공관련 인사 등 3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주항공 B737 여객기 1대가 정비를 위해 입고됐다.

KAEMS는 지난해 7월 설립된 국내 첫 항공MRO 전문업체로, 이날 민간 항공기 초도 정비 입고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민간 항공기 정비사업에 들어갔다.

이날 KAEMS의 본격적인 사업 착수는 국내 항공MRO 전문업체 부재에 따른 해외 항공MRO 전문업체에 정비를 의존해 왔기에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도는 설명했다.

KAEMS는 약 1년 6개월에 걸친 국토부의 사업계획 타당성 평가를 거쳐 지난 2017년 12월 정부지원 항공MRO 사업자로 선정된 KAI를 포함한 7개 기업이 자본금을 투자해 설립됐으며, 1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이번에 사업을 착수한다.

특히 사업 착수 전 국토부의 정비능력인증 심사 및 국내 LCC 항공사인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실시한 항공기 정비품질 심사결과, 항공기를 정비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KAEMS는 사업 착수를 계기로 국내 항공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수주활동을 시작해 올 한해 약 90억 원의 정비물량을 수주할 계획이다.

특히 오는 7월 미 연방항공청으로부터 수리능력사업장 인가를 취득하는 대로 중국과 일본 등 해외 항공기를 수주하는 등 해외시장으로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도는 또 오는 2022년까지 KAEMS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약 31만1880㎡ 규모의 항공정비 중심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오는 2026년까지 일자리 2만여 개와 5조600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창출, 1조68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문승욱 도 경제부지사는 축사를 통해 “항공MRO 산업 육성을 위해 도비 400여억 원을 투입하는 등 신속하고 과감한 행·재정적인 지원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항공산업 지원을 통해 서부경남을 항공산업의 메카로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MRO 전문기업에 대한 관세감면 등 세제지원과 R&D 기술지원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국내 MRO 산업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ost@fnnews.com 오성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