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3 (월)

서대문형무소 투옥된 3·1운동 참여자 집대성한 자료집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대문구, 1014명 수형가록카드 1300여쪽에 정리

20대가 39%…북한지역 수감자도 230여명 발굴

뉴스1

서울 서대문구가 25일 발간하는 '서대문형무소 3·1운동 수감자 자료집' (서대문구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100년 전 3·1운동에 참여했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됐던 독립운동가들을 집대성한 자료집이 발간된다.

서울 서대문구(구청장 문석진)는 3·1운동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던 독립운동가 1014명의 수형 기록카드를 정리한 1300여쪽 분량의 자료집을 25일 발간한다고 21일 밝혔다.

그간 3·1운동 관련 판결문이나 신문자료 등은 많이 알려졌지만 수감자를 대상으로 단독 자료집을 발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대문구는 "1919년 서대문형무소에는 3070여명이 수감됐는데 수형 기록카드가 남아 있는 1014명에 대한 기록을 일일이 확인하고 판결문 등 자료를 찾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자료집은 26일부터 관련 연구기관과 도서관 등에 배포된다.

자료집을 통해 3·1운동 시기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던 독립운동가들의 연령분포와 직업, 죄명, 형량 등도 밝혀졌다. 연령은 20대가 39.3%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22.7%, 40대 15.1%, 10대 12.8%, 50대 7.3%, 60대 2.8% 순이었다.

직업은 농업이 54.6%로 가장 많았지만 학생, 종교인, 교사, 상인, 공장 노동자, 의사, 간호사, 마차꾼, 고물상, 면장, 면서기, 순사보 등 80여 종류에 달했다. 여성 독립운동가도 33명 포함돼 있었다. 서대문구는 "3·1운동이 남녀노소와 계층 구분 없이 참여했던 민족운동이었음을 통계적으로 실증했다"고 설명했다.

죄명은 92.6%가 보안법 위반이었다. 나머지도 소요, 출판법 위반, 정치에 관한 죄 등 모두 '사상범'이었다. 일제가 3·1운동을 식민지 체제를 전복하려는 정치적 사건으로 보고 참여자들을 '정치사범'으로 처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형량이 파악되는 922명 중 최대 형량은 징역 12년형으로 4명 있었다. 10년형 2명, 7년형 9명, 6년형 3명, 5년형 9명 등이었다. 가장 많은 761명이 징역 6개월에서 1년6개월을 받았고, 1년6개월에서 4년형이 141명이었다. 징역 6개월 미만은 0.75%에 불과했다.

북한지역에서 3·1운동을 하다 체포돼 서대문형무소에 갇힌 북한 출신 수감자도 230여명 발굴했다. 특히 황해도 수안군 수안면에서 3·1운동에 참여했던 60여명의 카드가 남아 있어 주목된다.

1014명 중 66.3%인 672명은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았지만 342명은 아직 받지 못했다. 같은 지역에서 형제가 동시에 3·1운동에 참여했지만 한 사람만 공훈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서대문구는 자료집 발간을 기념해 25일 오후 2시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강의실에서 '서대문형무소 3·1운동 수감자 현황과 특징'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은 "자료집에 수록된 분들의 얼굴을 마주하다 보면 3·1운동은 특별한 누군가가 아닌 평범한 이들이 펼친 위대한 운동이란 생각이 든다"며 "특히 이 자료집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분들의 이름이 불리고 공훈을 받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jin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