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MB 실소유주 논란 다스 유동성 위기…"협력업체 줄도산 우려"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업계 불황에 대외신용도 하락 "금융권 여신회수 중단 등 대책 절실"

연합뉴스

경주 다스 본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주=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논란이 일었던 자동차부품업체 다스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28일 경북 경주시와 다스 등에 따르면 다스는 경주시 외동읍 외동농공단지에 본사를 둔 자동차 시트 부품 생산업체로 1987년 설립했다.

주로 현대·기아자동차에 납품하고 일부는 다른 회사에도 공급한다.

경주 본사에는 1천200명이 근무하고 경주지역 자동차 부품회사 가운데 규모가 큰 업체로 꼽힌다.

협력업체가 100여곳에 이르고 다스와 협력업체 직원은 1만명에 달한다.

이 회사는 한동안 급성장했으나 최근 들어 자금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실소유주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검찰이 다스와 관계사를 압수 수색을 했고 국세청이 2018년 1월 특별 세무조사를 벌였기 때문이다.

이후 다스와 관련해 부정적 인식이 퍼지면서 대외신용도가 급격하게 떨어졌다.

금융기관들이 계획된 상환일정을 당겨 대출금을 갚으라고 요구하거나 추가 담보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금융기관 차입금 3천302억원 가운데 751억원을 갚았지만 아직 2천551억원이 남았다.

여기에 국세청 특별 세무조사로 내야 하는 413억원의 추징금 가운데 남은 137억원도 올 3월까지 내야 한다.

여기에 통상임금 소송과 관련한 대법원판결에 따라 회사 부담금 324억원이 추가로 발생했고 자동차 업계 불황으로 지난해 적자 규모가 5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스는 이 상황이라면 도산이 현실화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스가 도산할 경우 협력업체 직원 1만명이 실직하고 국내외 자동차 생산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다스 관계자는 "예전에는 다스에 근무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고 근무복을 입고 나갔는데 지금은 모든 직원이 죄인 취급을 받고 있어 밖에 나갈 때는 근무복을 벗거나 숨기고 나간다"고 하소연했다.

다스 임직원과 노동조합은 공동명의로 금융감독원장에게 금융기관이 여신 회수를 중단하도록 중재해달라는 탄원서를 냈다.

이들은 "자동차업계 불황에 금융기관 자금 압박이 계속된다면 법정관리 등 회생절차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상환 압박을 중지하도록 적극 중재해달라"고 밝혔다.

sds12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