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불붙는 OTT 시장

박정호 SKT 대표 “넷플릭스, 국익에 도움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분기 티브로드와 합병 완료 예정, 통신사 중심 유료방송 3강구도 예고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통신사업자가 넷플릭스를 마케팅 프로그램으로 9:1로 계약해 10%만 벌어가는 전략을 추진하는데, 한국 미디어콘텐츠는 반도체만큼 중요한 사업이다.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를 고민하는 플랫폼이 되는 것은 국익에 크게 도움 되지 않는다.'

박정호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대표가 한국시장에서 몸집을 키우고 있는 넷플릭스와 이를 마케팅으로 활용하는 국내 통신사를 향해 일침을 가하며 이같이 밝혔다.

26일 박 대표는 SK텔레콤 본사 사옥에서 제35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넷플릭스가 강력한 만큼, 경쟁하려는 사업자가 별로 없다'라며 '그러나 미디어콘텐츠는 미래 먹거리를 책임지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1위 이동통신(MNO) 사업자라는 사명감을 갖고 지상파3사 푹(POOQ)과 통합해 1위 OTT를 만들어 넷플리스와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양호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이미 싱가폴텔레콤과 미국 컴캐스트 등에서 협력 요청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지상파3사와 손을 잡고 SK브로드밴드를 통해 토종 OTT 연합군을 형성한 상태다. 반면, LG유플러스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인 넷플릭스와 미디어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인터넷TV(IPTV) 사업자 중에서 넷플릭스와 협력하는 곳은 LG유플러스뿐이다.

최근 넷플릭스가 한국시장을 향해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을 공개했고, 화제가 되면서 LG유플러스 신규가입자까지 늘어나고 있다. 지난 1월 이혁주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18년 4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20~30대 신규고객층이 확대됐다. 넷플릭스에서 킹덤을 송출한 후 하루 유치 고객도 3배 이상 늘어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박 대표 발언은 SK브로드밴드 '옥수수'와 지상파3사 '푹' 합병계약이 본격 추진되고 있는 만큼, 한국시장에서의 넷플릭스 성장을 견제하는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는 다음 주경 옥수수 사업 분할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하고, 신생법인 설립을 본격화한다. 최고경영자(CEO) 유력 후보는 이태현 KBS 콘텐츠 사업국장이다.

이날 윤원영 SK브로드밴드 운영총괄은 '옥수수와 푹 통합으로 OTT 성장에 필요한 핵심 경쟁력을 모두 확보했다'라며 '아시아 넘버1 OTT로 성장시키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이와 관련 SK브로드밴드는 ▲지상파 콘텐츠 차별적 활용과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 확대 ▲무제한 주문형비디오(VOD) 요금제 ▲통신기술 활용한 다양한 제휴 마케팅 ▲실감영상 기술 및 초고화질 기반 5G 콘텐츠로 차별화 ▲가상현실(VR) 영상 및 전용 디바이스 결합 ▲한류 콘텐츠 상품 기반 동남아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박 대표와 윤 운영총괄은 티브로드와의 합병을 예고하며 유료방송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티브로드와 연내 통합하게 되면 ▲SK브로드밴드+티브로드 ▲KT ▲LG유플러스+CJ헬로로 구성된 실질적인 유료방송 3강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성공적 인수를 통해 SK브로드밴드는 콘텐츠 투자와 광고‧커머스, 미디어 기반 홈서비스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아울러, 박 대표는 '티브로드와 함께하게 되면 800만 규모를 갖추게 되는데,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도 되는 수준'이라며 '티브로드 실사 관련해서는 어려운 상황은 아니며 좋은 회사인 만큼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운영총괄은 '통신3사 중심의 유료방송이 재편되고, 합종연횡을 통해 주도권 장악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티브로드 통합작업을 4분기까지 완료하겠다'고 부연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