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저출산으로 산후조리원도 감소… 3년새 610→584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으로 산후조리원의 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의 전국 평균요금은 247만원이고, 서울이 평균 321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일 육아정책연구소의 ‘모자건강증진을 위한 산후조리서비스 발전 방안’보고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를 통해 집계된 전국의 산후조리원 수는 2009년 418곳에서 2015년 610곳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다가 2017년 598곳, 2018년 584곳으로 축소됐다. 산후조리원 이용인구도 2015년 19만4,802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7년에는 18만1,588명으로 줄었다. 보고서는 “사회ㆍ가족 구조의 변화로 산후조리원이 주된 산후조리 방식으로 자리 잡았지만 저출산의 영향으로 산후조리원 수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산후조리원 전국 평균 이용요금(2주간 일반실 이용 기준)은 2013년 203만원에서 매해 올라 2018년 6월 기준 247만원으로 나타났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서울이 평균 321만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고, 200만원 미만인 지역은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였다. 산후조리원비가 제일 낮은 지젹은 전북(150만원)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가 산모실에 머무는 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 미만(50.3%)이 가장 많았다. 이어 4∼7시간(34.6%), 8∼11시간(11.5%)이었고, 12시간 이상은 3.6%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생애초기 영아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서는 산모와 신생아가 함께 머물 수 있는 모자동실을 늘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