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인천시, 쪽방촌·노숙인 지원 '주거행복사업' 시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아시아투데이 박은영 기자 = 인천시가 지역 기업들과 손잡고 쪽방주민과 노숙인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지원하는 ‘주거행복사업’을 추진한다.

인천시는 22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와 ‘보증금 지원형 안심주택 지원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지원사업에 동참한 셀트리온복지재단, ㈜에스디프런티어, 만도브로제의 사회공헌 후원금 4500만원을 LH에 전달했다.

시는 관계기관 및 인천의 기업들과 협력해 쪽방과 노숙인 시설, 여인숙 등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한 주민을 대상으로 보증금 지원형 안심주택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화재위험이 있는 쪽방촌 및 노숙인 시설 40곳에 전기안전 원격감시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업도 벌인다.

이를 위해 인천비전기업협회와 전기안전공사 인천지역본부는 사업추진을 위해 후원금 1454만원을 기부했다.

보증금 지원형 안심주택 사업은 LH가 기존주택을 매입해 저소득층에게 임대하는 매입임대주택사업과 주거취약계층에게 지원되는 영구임대주택사업으로 진행된다.

매입임대주택은 50만원, 영구임대주택은 최대 100만원까지 보증금을 지원하고 2년마다 계약을 갱신해 최장 20년 거주가 가능하다.

지원대상은 주거환경이 취약한 쪽방주민, 노숙인 시설에서 거주한 사람으로 자립 가능한 사람 및 여인숙·비닐하우스·컨테이너 박스·고시원 등 비주거형태의 3개월 이상 거주자다.

시는 지원사업을 통해 새로 이주한 주민들이 새로운 지역사회에서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6개월~1년 동안 쪽방상담소, 노숙인 시설, 행복복지센터와 연계해 사례관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시는 또 전기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전기안전 IoT 설치 시범사업 및 상반기 전기시설물 안전점검을 병행한다.

이는 쪽방주민세대와 개인운영 노숙인 신고시설 40곳을 선정해 누전이나 과부하, 과전압 등의 전기사고 요인을 실시간 감시하는 장치를 각 세대 차단기에 시범설치하는 사업이다.

전기사용에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전기안전공사의 관제시스템망으로 즉시 전송돼 전기재해위험이 높은 쪽방촌의 전기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시는 2년 간 시범운영해 전기 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입증될 경우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또 다음 달에는 쪽방세대의 전기안전 시설물 점검도 함께 실시한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번 주거행복사업은 모두 인천의 기관과 기업이 뜻을 모아 진행해 의미가 깊다”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지역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