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100세 시대인데 82세엔 예적금 ‘텅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금융연 국민연금 수급자 설문

76%가 연금 수령액 50만원 미만

생활비 절반을 예적금으로 충당

3명 중 1명 “자녀의 부양 기대”

국민연금은 노후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은퇴한 고령자는 생활비의 절반을 은퇴 전 모아둔 예금과 적금으로 충당했다. 모아놓은 돈을 헐어 쓰다 보니 82세가 되면 금융자산이 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2일 펴낸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에 실린 내용이다. 국민연금을 받는 고령자(65~74세) 650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급자의 노후 생활비는 월평균 201만원이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소 노후 생활비(183만원)보다는 약간 많았다. 하지만 여가활동 등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264만원)에는 못 미쳤다.

중앙일보

노후생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역 때와 비교하면 씀씀이는 ‘반 토막’ 났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48.6%)가 현재의 소비 수준이 은퇴 전의 50% 밑으로 떨어졌다고 답했다. 은퇴 전의 30% 아래로 줄었다는 응답자(15.8%)도 적지 않았다.

스스로 상류층으로 생각했던 열 명 중 아홉 명꼴(87.6%)은 은퇴 후 계층이 하락했다고 답했다. 상류층에서 중산층으로 낮아졌다는 응답(81.3%)이 다수였지만 저소득층으로 떨어졌다는 응답(6.3%)도 있었다.

노령연금 수급자는 네 명 중 세 명꼴(75.7%)로 50만원 미만을 받았다. 100만원 이상 받는 경우는 5.3%에 불과했다. 열 명 중 여섯 명꼴(61.5%)로 국민연금 전액을 생활비로 쓰고 있었다. 부족한 생활비는 은퇴 전 모아둔 금융자산이나 근로소득, 자녀의 지원 등으로 충당했다.

모아놓은 예·적금이 다 떨어지는 시기는 평균 82세였다. 자녀가 없으면 평균 6년 빠른 76세에 금융자산이 소진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0세 시대’에 노후 자금 여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가로 자금을 마련할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52.6%)은 “아예 없다”고 답했다. “자녀의 부양을 기대한다”는 응답은 세 명 중 한 명꼴(33.8%)이었다.

은퇴자들이 선호하는 금융상품은 사적 연금(19.5%)과 민간 건강보험 상품(18%)을 꼽았다. 계층별로 응답은 엇갈렸다. 중산층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사적 연금, 저소득층은 민간 건강보험을 선호했다.

차주필 하나은행 연금사업본부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국민연금 수급자의 소비생활과 노후자금 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했다”며 “앞으로 연령별과 소득계층별로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