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국토부 "제주 제2공항 주민 공공시설 제공 등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박미주 기자] [환경·소음 피해 최소화 등 위한 방안들도 내놔… 10월 기본계획 고시 예정]

머니투데이

제공= 국토교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제주도 제2공항 터미널을 지역 주민이 문화·편의·의료·복지 시설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 제공’ 방안을 제시하기로 했다. LCC(저비용 항공사) 특화 운영, 항공사별 분리, 대형항공사 특화 운영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추가 검토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제주 성산읍체육관에서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한 뒤 이같이 밝혔다.

성산읍에 건설될 제2공항 사업비는 4조8700억원이다. 3200m의 활주로, 터미널, 접근도로 등이 만들어진다.

제주 항공수요는 목표연도인 2055년 기준 4109만명(국내선 3796만명, 국제선 313만명)으로 예측됐다. 국토부는 관광수용력·환경수용력 포화 우려를 고려해 제주도와 협력해 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터미널의 경우 최첨단 스마트 기술, 제주 경관 및 친환경 요소를 반영하고,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도 제공도 계획하고 있다. 공항 편입·주변지역 주민을 위해 향후 지역에서 제시하는 의견은 적극 검토, 반영할 방침이다.

제2공항 운영방안에 대해선 제주 국내선 50%, 국제선 100% 처리을 포함해 LCC 특화 운영 등을 추가로 검토한다.

제2공항이 환경 및 소음피해 최소화, 자연 훼손 없는 공항이 되도록 활주로 위치와 방향도 다양하게 검토 중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6가지 대안을 밝혔는데 최종보고회까지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검토위원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검토한 후 기본계획 내용에 반영해 오는 6월까지 기본계획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 오는 10월 지역 의견 수렴,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고시할 예정이다.

한편 중간보고회는 당초 지난 17일 열릴 예정이었다. 당정 협의에 따른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검토위원회 첫 회의가 같은 날 예정되자 제2공항 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가 중간보고회 취소를 요청했고, 이에 일정이 이날로 연기됐다.

박미주 기자 beyond@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