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TF초점] LG전자 '생산거점 이동'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24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오는 6월부터 경기도 평택 공장의 스마트폰 물량을 줄여 연내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전자, 평택 공장 스마트폰 생산 중단키로

[더팩트ㅣ서민지 기자] LG전자가 사업 효율화를 위해 스마트폰 생산 거점을 베트남으로 이동하기로 했다. '만년 적자'를 극복하기 위한 경쟁력 제고로 평가되고 있지만, 스마트폰 사업의 비중을 축소하려는 움직임이라는 일부 시선도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오는 6월부터 경기도 평택 공장의 스마트폰 물량을 줄여 연내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평택에서 생산하던 스마트폰 생산은 베트남 북부 하이퐁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생산을 경기도 평택과 베트남, 브라질, 중국 등 4곳에서 진행하고 있다. 평택 공장은 LG전자 스마트폰의 약 10~20%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로 프리미엄폰을 만들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누적이 이어지면서 사업 구조 개선을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 스마트폰 사업은 2015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15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가며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누적 적자는 3조 원에 달한다.

더팩트

LG전자 경기도 평택 공장은 LG전자 스마트폰의 약 10~20%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로 프리미엄폰을 만들었다. 사진은 출시 예정인 'V50 씽큐' 모습. /서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이 거점이 될 경우 생산 효율성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트남은 정부의 지원이 있을뿐더러 법인세 인하 등 각종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인건비도 낮아 비용 절감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다.

특히나 LG 계열사들이 하이퐁에 밀집돼 있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베트남 하이퐁에는 LG디스플레이와 LG화학 등의 공장이 인근에 자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구조 개선으로 경쟁력을 높일 기회가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진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만큼 비용 절감을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적자 폭이 차츰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스마트폰 사업을 점차 축소해나갈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부를 꾸준히 축소해나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MC(스마트폰)사업본부 인력을 타 사업부로 전환 배치하며 몸집을 줄여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신입 공채에서도 MC사업본부는 채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평택 공장 인력을 다른 사업장으로 전환 배치하거나 일부 희망퇴직을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결국 공장 철수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다만 권봉석 LG전자 MC·HE 사업본부장 사장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제품과 기술 제작 플랫폼의 정례화로 이전보다 적은 인원으로 일할 수 있게 됐다"며 "추가적인 인력 축소나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jisseo@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