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추가경정예산 편성

1분기 성적표 '빨간불'… 추경에도 반등 전망 어두운 '韓 경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최악 / “추가 경기부양책 나와야”

세계일보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경제 성장률은 ‘충격’ 자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예상보다 대내외 여건이 더 악화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전날 발표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외에 추가 부양책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이날 한국은행 발표를 보면 우리나라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3%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낮은 경제성장률이다.

수출과 투자가 동반 부진한 것이 마이너스 성장의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 수출은 전기 대비 -2.6%, 수입은 -3.3%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10.8%, 건설투자도 -0.1%였다.

세계일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1분기 성적표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한국 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크다. 경기 하강 속도가 예상보다 가파르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긴급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세계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둔화하는 등 대외여건이 악화하면서 수출이 부진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외 불확실성 지소으로 인해 투자도 동반 부진했고, 일시적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또 “정부는 엄중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가용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적시에 대응함으로써 당초 제시한 성장목표(2.6∼2.7%)를 달성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의 우리 경제를 끌어올리기 위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0.3% 경제성장률은 심각한 실물경제 위기 상황”이라며 “추경이 발표됐지만, 현재의 경기하강 속도가 빨라서 상황에 대처하기에는 크게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또 “확장적 재정정책에 이어 통화정책도 완화적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