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아직도 우리 몸에 기생충이…3년간 7668 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배변봉투’ 추억 사라지지 않고 더 독해져

담관암 발병원인 ‘간흡충’ 63.2% 가장 많아

최도자 의원, “봄, 여름 민물고기 등 주의를”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배변봉투’로 상징되는 기생충은 30년전 추억인줄만 알았는데, 아직도 요충, 회충 등 기생충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 발병 요인이 되는 간흡충 등 치명적인 기생충들이 늘어, 봄, 여름철 민물고기 섭취 등 때 보다 신중한 식습관을 가져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도자 의원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 기생충 감염병은 2016년 3100건, 2017년 2378건, 지난해 2190건 등 최근 3년간 7668건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담관암의 발병원인이 되는 ‘간흡충’이 63.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통계의 기생충 종류별로는 회충증 4건, 편충증 176건, 요충증 225건, 간흡충증 1352건, 폐흡충증 2건, 장흡충증 431건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낙동강 유역 지역인 부산과 경남이 각각 2,527건(33.0%), 2384건(31.1%)으로 기생충 감염이 가장 많았다. 이어 울산 685건(8.9%), 제주 438건(5.7%), 강원 329건(4.3%), 전남 298건(3.9%) 순으로 기생충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3년간 간흡충 감염은 총 4850건(63.2%)이었다. 이어 장흡충(18.7%)이 1431건, 요충이 888건(11.6%), 편충 485건(6.3%)이었다.

간흡층의 경우 중고기, 돌고기 등 자연산 민물고기를 생식하였을 때 감염되며, 간의 담관에 기생해 ‘간흡층증’과 ‘담관암’의 발병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보건당국이 간흡충 고위험지역 대상으로 장내기생충 감염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생충 감염률은 50대(6.1%), 60대(5.2%), 40(3.9%) 순으로 중장년층에서 기생충 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도자 의원은 “민물고기 생식 등으로 인한 기생충 감염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면서 “봄철, 여름철 수온 상승으로 기생충 수가 증가하는 만큼 민물고기를 생으로 먹지 말고 반드시 익혀먹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bc@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