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4 (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3기 신도시에 고양 창릉·부천 대장 선정... 5만8,000가구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고양 창릉동 일대와 부천 대장지구가 3기 신도시 지구로 선정됐다. 정부는 고양과 부천에 각각 3만 8,000가구, 2만 가구 가량의 택지조성을 할 예정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7일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수도권 30만가구 주택공급 방안에 따른 제 3차 신규택지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는 앞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수도권에 30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하고 지난해 9월과 12월 두 번에 걸쳐 총 19만가구의 입지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3차 발표 대상은 그동안 공개하지 않은 나머지 11만가구다.

정부가 앞서 발표했던 3기 신도시에는 경기도 남양주 왕숙(6만6,00가구)·하남 교산(3만2,000가구)·인천 계양(1만7,000가구)이 포함됐다. 1차 발표 당시에는 신도시급에 해당하는 대규모 택지 조성계획은 없었고, 2차 발표에 이들 3곳이 포함됐다. 신도시급은 택지면적 330만㎡ 이상을 말한다. 앞서 발표한 19만 가구 해당 입지는 대다수 그린벨트 지역이며 훼손되거나 보존가치가 낮아 택지지구로 선정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었다.

3기 신도시 후보지는 서울 경계에서 1㎞가량 떨어진 지역으로 선정됐다. 접근성 측면에서는 앞서 발표했던 지역보다 가깝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3차 후보지는 경기도 고양시 창릉·용두·화전동 일대와 부천시 대장·오정·원종동 일대이다. 고양시 창릉 지구는 총 813만㎡ 규모에 3만8,000가구가 조성된다. 이는 앞서 발표한 남양주(1,134만㎡), 하남(649만㎡)보다는 작지만 인천 계양(335만㎡)보다 큰 규모이다. 135만㎡ 규모는 자족용지로 조성하고 330만㎡ 규모의 공원과 녹지 등 호수공원도 조성된다. 특히 기존 자리했던 육군 30사단 부지는 서울숲 2배 규모의 도시숲으로 조성한다. 공원내 복합문화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부천 대장지구는 343만㎡ 규모로 조성된다. 68만㎡를 자족용지로 조성하고, 100만㎡는 공원이 된다. 30만㎡ 규모의 멀티스포츠 센터도 건립한다. 기업지원허브, 창업주택 등을 건설해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도시재생도 함께 추진한다. 지구 서북측의 하수처리장은 대규모 멀티스포츠센터로 탈바꿈한다. 자원순환센터는 지하화하고 굴포천에 수변공원이 조성된다.

정부는 택지 조성에 맞춰 이들 지역에 대한 교통대책도 내놓았다. 고양시 창릉지구는 지하철 6호선 새절역부터 고양시청까지 지하철을 신설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지구 남측의 경의중앙선 화전역과 지하철 신설역을 BRT로 연결할 예정이다. 이 경우 서울 여의도, 강남, 용산 등 주요 지역에 25~30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부천 대장지구는 지하철 5·9호선 김포공항역과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S-BRT를 설치한다. 또 S-BRT 이용객의 환승 서비스를 높이기 위해 부천종합운동장역에 복합환승센터도 설치할 계획이다. 계양 나들목부터 광명~서울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경명대로도 신설 확장한다.

정부는 3기 신도시를 공개하면서 투기방지대책도 즉각 시행한다. 해당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주민공람 즉시 개발행위를 제한할 예정이다. 또 해당 지역의 토지거래량, 집값 등 모니터링을 지속 하면서 관계기관 합동 투기단속반도 운영한다. 기존에 살던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대토보상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당초 6월 말께 3기 신도시 잔여 11만 가구 입지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상 지역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토지 투기 등을 막기 위해 한발 앞서 발표하게 된 것이다. 또 서울 집값이 최근 낙폭을 줄이자 3기 신도시 추진을 서둘렀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지난달 마지막 주 0.05% 하락했지만, 지난해 낙폭이 컸던 강남구가 보합세를 나타냈다.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된 데 따른 것이다. 4월 월간 거래량도 올해 처음으로 2,000건을 넘어서기도 했다.
/강동효기자 kdhy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