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86억 원대 재활용 쓰레기 지원금 '꿀꺽'…편취 업자 등 13명 기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폐비닐의 회수·선별·재활용업체들이 제출하는 서류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하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악용해 86억 원대의 지원금을 가로챈 업자들이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전주지검은 최근 3년간 폐비닐 4만 2천400t 규모의 회수·선별 및 재활용 지원금 86억 원을 편취한 혐의로 회수·선별업체, 재활용업체 등 10개 업체를 적발해 업체 대표 8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원금 편취 증거를 확인하고도 허위 현장조사서를 작성한 혐의로 한국환경공단 과장을 구속기소 했습니다.

검찰은 이 사건과 관련해 총 9명을 구속기소 하고 4명을 불구속기소 했습니다.

폐비닐 회수·선별업체 대표 A씨는 2015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폐비닐 2만7천600t을 재활용업체에 인계하지 않았는데도 허위계량확인서를 제출해 22억 7천여만 원의 지원금을 받아낸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그는 수도권 최대 규모의 폐비닐 회수·선별업체 2곳을 운영하며 업체 사장들과 공모해 범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3개 회사 회수·선별업체 대표도 같은 수법으로 13억 7천여만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호남권 최대 규모의 재활용업체 대표인 B씨는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1만2천725t 규모의 재생원료 등을 생산한 것처럼 실적을 신고한 뒤 21억 4천여만 원의 지원금을 빼돌려 챙긴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10개 업체가 폐비닐 4만 2천400t으로 챙긴 지원금은 8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폐비닐 4만 2천400t은 라면 봉지 90억개 규모라고 검찰은 설명했습니다.

범행 이면에는 감독기관 직원들의 묵인과 조장이 있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공단 호남지역본부 과장과 팀장은 지원금 편취 증거를 확인하고도 2016년 7월 현장조사 시 업체의 시간당 재활용 가능량을 부풀려주는 수법으로 허위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또 해당 과장은 지난해 10월 업체로부터 지원금 단가가 인상될 수 있도록 품질등급을 높여달라는 청탁을 받고 평가 점수를 과다부여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팀장은 업체의 지원금 편취 증거를 확인하고도 2017년 12월 허위 소명자료를 조사하지 않고 해당 업체를 무혐의 조치했습니다.

또 다른 팀장은 지난해 2월 지원금 편취 사실이 확인된 업체로부터 제재를 최소화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환경부와 함께 수사를 진행됐고, 환경부는 적발업체 10개사에 대해 유통센터와 계약해지를 하고 편취 지원금도 환수할 방침입니다.

▶PLAY! 뉴스라이프, SBS모바일24 개국
▶[핫이슈] 고양 창릉·부천 대장, '3기 신도시' 지정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