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압도적 파업 찬성율…카운트다운 들어간 ‘주52시간發’ 버스 대란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버스기사들 “수당 없어지면 안돼”… 전국 2만여대 버스 중단 초읽기

-15일 버스 파업 가능성 높아져… 8일 부산 보스 노조 찬성률 96% 압도적

헤럴드경제

[사진=파업 찬반 투표가 진행중인 서울 강남권의 한 버스회사, 김용재 인턴기자]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ㆍ김용재 인턴기자] “수당으로 버티던 버스 기사로부터 수당을 뺐어 갔으니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다“

9일 오전 총파업을 앞두고 노조원들의 찬반투표가 진행중인 서울 강남권의 한 버스 회사 투표소 인근에서 만난 50대버스기사 조모 씨는 “버스기사의 삶은 하루하루 수명이 줄어드는 삶이다”며 정부가 임금을 보전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오전 파업 찬성 표를 던지고 나온 버스기사 최모(52)씨도 ”주 52시간 근로제가 도입되면 기사들 월급이 많게는 50만원까지 깎인다“며 ”52시간제로 여가 생활 할 시간은 생겼지만 쓸 돈이 없어서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80%넘는 압도적 찬성률… 15일 버스대란 가능성↑= 한국노총 전국 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사업장 버스 노조들은 지난 8일부터 버스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투표가 진행된 부산, 충남 등지에서 80%가 넘는 조합원들이 ‘파업 찬성’ 안건을 가결시켰다. 서울 버스 노조의 파업 투표 역시 가결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많다. 현재까지 고용노동부 산하 각 지방 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신청을 한 사업장은 전국 479곳 버스사업장 중 절반 가까운 234곳이다. 버스 대수로 치면 2만318대다. 쟁의 조정에 실패하면 지역별로 파업찬반 투표를 거쳐, 오는 15일 부터 파업에 들어간다.

버스 기사들이 파업 찬반 투표에 나선 것은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 때문에 임금이 줄어드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버스기사들의 임금은 연장근로 등에 따른 수당(51%)과 기본급(49%)으로 구성돼 있는데 주52시간제가 가동되면 근무시간 단축에 따라 임금도 줄어든다. 수당 삭감 폭은 더 크다. 300인 이상 버스업체는 오는 7월 1일부터, 300인 미만 업체는 내년 1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한다. 현재 버스기사들의 근무시간은 주당 최대 68시간이다.

한국노총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서울 부산, 울산 등의 경우 버스 기사 월급이 15~30만원 가량이, 경기도의 경우 60~100만원(15~25%) 가량의 임금이 줄어들게 된다. 위용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정책부장은 “주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졸음 운전 해소 등 안전운행을 위해서 노동시간을 규제하는 것은 환영한다”면서도 “기본급 보다 시간외근로수당 등 초과급여가 많은 기형적 임금구조 때문에 임금 삭감폭이 크다. 임금보전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버스대란…시민 불편 불가피=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자 수는 1037만4000명이다. 이 가운데 시내버스 이용객은 407만9000명으로 전체 대중 교통 이용객의 약 39%를 차지한다. 서울버스 파업이 현실화 될 경우 하루 400만명 가량의 발이 묶이게 되는 셈이다. 서울 시내에 운행 중인 버스는 총 7400여대다. 서울 버스노조가 파업하면 마을버스를 제외한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도심순환버스와 광역버스도 운행이 중단된다.

버스 파업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응원하고 연대하겠다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집단이기주의라 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강동구 상일동에서 만난 이점례(71ㆍ여) 씨는 “많이 힘들고 고단하니 파업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잠깐 버스좀 안타면 되니까 괜찮다. 응원한다”고 했다. 이주혜 씨 역시 “비정상적인 노동강도에 시달린 버스기사들의 당연한 반응”이라며 “52시간 근무제가 고임금, 정규직 노동자들에게만 유리하다”며 “비정규직과 (버스운전기사와같은) 저임금 노동자들에 대해서도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김은숙(50)씨는 “버스 기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어떤 이유든 버스 이용객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서 응원해 주기 힘들다”고 했다. 정부의 대처가 안일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동구 명일동에서 만난 선동철(26)씨는 “지난 3월부터 버스에 붙은 파업예고 전단지를 봤지만, 결국 이지경까지 됐다”며 “무작정 52시간을 강요해온 정부의 게으르고 무능한 대처가 문제”라고 했다.

한편 부산 버스노조는 전날 33개 사업장별로 파업 찬반투표를 한 결과 97%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시켰다. 울산 버스 노조의 파업찬성률은 87.7%, 청주는 90%등을 기록했다. 경기지역의 준공영제 적용 사업장은 8∼9일, 인천은 10일 파업 찬반투표를 한다. 서울 버스노조는 9일 총회를 열고 조합원 1만7000명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한다.

coo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