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추이즈위엔 칭화대 교수 "미·중 무역 갈등은 정치체계 차이 때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추이즈위엔 칭화대 교수


조선일보 주최로 열린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에서는 미·중 무역 갈등이 근본적으로 양국의 정치제도 차이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이어졌다.

ALC 이틀째인 15일 추이즈위엔 칭화대 교수는 ‘중국 경제ㆍ산업 꿰뚫기’ 세션에서 "미ㆍ중간 무역 갈등은 단지 관세의 영향뿐만이 아니다"라며 "양국 간 정치체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많다"고 말했다. 지난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로머 미국 뉴욕대 교수도 전날 ALC 연설에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도 단순히 교역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정부의 역할에 대한 양국의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추이 교수는 "니키 헤일리 전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사회주의적 시장경제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것 같다"며 "중국의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라는 핵심 개념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전날 ALC 기조연설에서 중국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중국은 철저하게 이데올로기적이며 억압적인 정부가 돼 가고 있다"고 했다.

추이 교수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실용주의적 접근을 못 하기 때문"이라며 중국이 경제 체제에 자본주의식 방법론을 혼합하는 ‘실용주의 접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13년 이후 중국에서 국가자본을 관리할 때 ‘워렌 버핏’식으로 하는 흐름이 생겼다"며 "결코 투자하는 기업의 대주주가 되지 않는 워렌 버핏의 방식을 차용해서, 중국 정부가 소주주로서 국가 자본을 관리하고자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추이 교수는 "미국과 중국은 모두 각자의 시스템을 두고 경쟁을 하고 있는데, 사실 이 두 개의 시스템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그는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 때 미국은 일시적으로 모든 주요은행을 국유화했었다"며 "그렇다면 미국이 어느 정도 ‘사회주의적 시장경제 특성이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으냐"고 말했다.

[김경화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