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과수가 본 전일빌딩 탄흔…"헬기 사격 결정적 증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전두환 씨가 또 하나 부인하고 있는게 당시 헬기 사격인데요. 그 증거인 전일빌딩을 저희 취재진이 국과수와 함께 현장 검증을 했습니다. 190여 개 탄흔이 남아있는 곳입니다.

유선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일빌딩은 총탄 자국이 나온 10층을 빼고 전체가 공사중입니다.

김동환 국과수 총기안전실장은 내부 기둥의 탄흔을 주목했습니다.

[김동환/국과수 총기안전실장 : 기둥의 측면에 두 개의 탄흔이 있어요. 대각선 모양의 탄흔이 두 개가 있거든요. 그건 탄환이 벽의 측면을 스치면서 만든 탄흔이고, 그 탄흔을 그대로 따라 내려가면 바닥에 일치되는 탄흔이 또 있어요.]

창문 옆 기둥에는 실제로 2개의 탄 자국이 보입니다.

그 각도를 따라 밖을 보면 하늘 뿐입니다.

80년 5월에도, 지금도, 더 높은 건물이나 지형은 보이지 않습니다.

일각에서는 저렇게 위에서 내리꽂힌 각도의 탄흔이 위에서 쏜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이 바닥에서 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저 각도를 따라 내려와 보면 알 수 있듯이 바닥에는 이렇게 내리꽂힌 탄흔들이 있습니다.

이 각도에서 저렇게 내리꽂힌 각도의 탄흔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예 바닥에 누워서 총을 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이 자리에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국과수가 다음으로 주목한 것은 천장입니다.

[김동환/국과수 총기안전실장 : 지상에서는 그렇게 쏴서 천장을 맞힐 수는 있지만 천장을 스치는 수평의 탄도는 만들 수가 없잖아요.]

5·18 기록관 수장고의 천장을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실제로 스친 탄흔이 여러 개 보입니다.

같은 높이에서 쐈다는 것입니다.

총탄 자국은 많습니다.

[나의갑/5·18민주화운동 기록관장 : 10층 바닥, 기둥, 천장 모두 합쳐 국과수에서 헬기사격 총탄 흔적으로 일단 추정한 개수가 193개에 이릅니다.]

국과수는 총탄 흔적의 전체적인 모양과 크기 등을 근거로 사격 방식과 기종까지 추정했습니다.

[김동환/국과수 총기안전실장 : 거치대 위에 총이 올라가 있으니까 축으로 해서 총을 돌릴 수가 있거든요. 부채살 모양으로. 천장 텍스에 나타나 있는 탄흔이 부채살 모양으로 보여요. UH-1H 헬기 탑승문에 장착된 M60 기관총이 가장 유력하지 않나…]

(영상디자인 : 조승우)

◆ 관련 리포트

집단사격 있던 그날…"전두환 헬기로 광주행, 직접 봤다"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579/NB11817579.html

유선의, 홍승재, 홍여울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