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뒤집힌 전두환 비석’ 5·18자유공원 밖에 설치된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제11공수여단 정문 앞에 세워져 있던 '전두환 비석(오른쪽)'이 광주 5ㆍ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옮겨졌다. 거꾸로 눕혀 설피된 이 비석은 5ㆍ18당시 무고한 시민을 학살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한 전두환과 그를 따르던 신군부에 대한 분노가 담겨 있다고 5월 단체는 설명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5·18민주화운동 당시 무차별한 진압 작전을 수행한 제11공수여단 정문 앞에 세워진 이른바 ‘전두환 비석’이 광주 5·18자유공원으로 옮겨졌다.

17일 광주시와 5월 단체는 전남 담양 11공수여단의 부대 준공기념석을 광주 5·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이 준공 기념석은 1983년 11공수여단이 전남 담양으로 부대를 이전하면서 세워진 것으로 ‘선진조국의 선봉 대통령 전두환’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5월 단체는 무고한 시민을 학살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한 전두환과 그를 따르던 신군부에 대한 분노의 의미와 시민들이 밟을 수 있도록 기념석을 거꾸로 눕혀 설치했다.

당초 비석은 공원 내 영창 옆으로 옮겨질 예정이었지만 ‘전두환의 이름이 공원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는 일부 5월 단체 회원들의 반발로 공원 화장실 인근에 자리 잡게 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비석은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역사적 상징물 가운데 하나”라며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위해 이전했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