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라진 '불주사'…비싼 백신 팔려고 무료백신 공급 막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사토크 세대공감…40대 '뉴스 Pick'

#"한국백신, 공정백신 맞아라!"



[앵커]

다음 뉴스 < 비싼 백신 > 은 뭔가요?

[고현준/40대 공감 위원 : 네, 아이들 건강을 볼모로 약을 비싸게 판 제약사 이야기입니다. 제가 오늘(17일) 공감위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픽한 뉴스는요. < '약값 장난', 가중 처벌하자 > 입니다. 지금 영상을 보시면 나오는 이 주사, 다들 어린 시절에 맞아보셨을 텐데요. 일명 '불주사'라고 불리는 결핵백신입니다. 정부 지원으로 무료로 맞을 수 있어 사실상 모든 아이들이 접종을 받죠. 그런데 이 백신을 수입하는 한국백신에서 정부 몰래 수입을 중단해서 영유아들이 18배 비싼 도장형 백신을 맞을 수밖에 없도록 했다가 공정위에 딱 걸렸습니다.]

+++

[송상민/공정거래위원회 시장감시국장 (어제) : 한국백신은 이 과정에서 2017년도에는 피내용 BCG 백신(불주사)을 전혀 수입하지 않았습니다. 한국백신은 독점적 이윤을 실현하였고, 반면에 신생아 보호자들은 경피용 BCG 백신(도장형)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서 선택권이 제한되었습니다.]

+++

[고현준/40대 공감 위원 : 주사형 백신이 없어지자 결국 정부는 비싼 도장형 백신으로 예방접종을 했고요. 140억 원에 달하는 국고손실을 봤습니다. 반면 비싼 약을 사실상 강매해온 한국백신은 매출이 63%나 폭등했습니다. 그야말로 돈 벌자고 애들 건강 가지고 장난을 친 것인데요. 오늘 이 이야기 공감위원들과 나눠보고 싶습니다.]

· 고가 백신 팔려고 무료백신 수입 막은 제약사

· '예방접종 대란' 키워 돈벌이한 한국백신

· 과징금은 9억9천만원…"솜방망이 처벌" 논란

+++

[앵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고, 제약사들이 이렇게 약값으로 폭리를 취한 경우 외국에서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제약 사업가 마틴 슈크렐리라는 인물이 있었는데요. 어떤 일이 있었는지 발언을 잠깐 듣고 오겠습니다.

[마틴 슈크렐리/사업가 (2015년 포브스 인터뷰) : 약값을 더 올릴 수도 있었어요. 주주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 제 의무니까요. 아무도 인정하고 있지도 않고 자랑스러워하지도 않지만 이런 게 자본주의 사회고, 자본주의 자본주의 법칙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JTBC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