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39년 전 가슴에 묻은 아들…'망언'에 우는 어머니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1980년 5월, 많은 광주의 부모들이 자식을 가슴에 묻어야 했습니다. 어느덧 39년이 흘렀지만 마음의 상처는 아물지 못했습니다. 피해자와 가족들을 모욕하는 망언에는 가슴이 또 한번 찢어진다고도 했습니다.

김지성 기자입니다.

[기자]

사진 속 막내 아들은 앳된 소년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1980년 5월 고등학교 1학년이던 고 안종필 열사는 시민군이 되어 전남도청을 지켰습니다.

[이정님/고 안종필 열사 어머니 : (아들을) 못 나가게 하려고 (옷을) 물에다가 다 집어넣어 버렸는데 교련복을 입고 또 나간 거예요 도청으로.]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 진입을 시도한 계엄군의 총탄에 안씨는 짧은 생을 마쳤습니다.

고 장재철 열사, 운전을 배워 어머니를 호강시켜 드리겠다던 의젓한 큰 아들이었습니다.

23살 청년이던 장씨는 다친 시민들을 병원으로 옮기다 다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김점례/고 장재철 열사 어머니 : 가운을 탁 걷었어. 집에서 입고 간 옷이여. 그런데 얼굴은 못 알아보고.]

5·18 망언은 가족들의 상처를 더 아프게 팝니다.

[임근단/고 김경철 열사 어머니 : (우리를) 괴물 집단이라고 할 때, 폭도 놈이라고 했을 때도 얼마나 마음이 아프고.]

39년의 세월이 흘러도 자식을 향한 절절한 그리움은 지울 수 없습니다.

[이정님/고 안종필 열사 어머니 : 하루도 널 잊은 날이 없고 엄마는 날마다 너 생각하고 있어.]

김지성, 유규열, 박수민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