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태호 “올해 고용 상황 희망적, 정부 정책 지원이 한몫”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 종합해 보면 작년보다 개선

추경안 통과되면 고용 도움될 것”

중앙일보

정태호.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19일 “올해 고용 상황은 희망적”이라고 밝혔다.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이 “통계와 현장의 온도 차는 물론 있다”며 “총체적으로 본다면 우리 경제는 성공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밝힌 지 닷새 만에 나온 청와대의 공식 대응이다.

정태호 일자리 수석은 이날 간담회를 갖고 “각종 통계를 종합해 보면 고용 상황은 2018년보다는 개선되고 있다”며 “상황이 어렵기는 하지만 희망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가 9만7000명이었는데 올 들어 2월 26만, 3월 25만, 4월 17만 명을 기록했다”며 “국내 주요 기관이 예측했던 10만~15만 명을 뛰어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수석은 이어 “(고용 개선의) 배경에는 정책 성과도 있고, 추경안이 통과되면 고용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를 합해 10만 명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를 보여주고 있는데,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결과”라며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 증가 수 감소를 주도한 자동차·조선 상황이 개선되는 것도 시황 변화와 함께 정부 정책 지원이 한몫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다만 “여전히 자영업·제조업 취업자 감소가 전체 고용 환경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향후 정책의 핵심 방향은 이런 점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전통 제조업에 정책역량을 투입하겠다는 뜻이다. 그는 이와 관련, “지역 일자리를 위한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며 “여러 지자체에서 상생형 일자리를 위해 엄청 노력하는 것으로 아는데, 6월 이전에는 한두 곳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도 “고용의 핵심적 역할을 했던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 제조업이 급격한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고용 개선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은 산업 내부의 큰 변화 과정에서 느끼는 고통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선업은 상당히 취업환경이 좋아지고 있고, 자동차 시장까지 좋아진다면 정책적 효과를 체감하게 될 것”이라며 “다만 시간이 좀 걸리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청와대가 올해 고용 상황을 낙관적으로 전망하면서 최악의 고용 상황으로 평가받는 지난해와 비교한 것에 대해서도 별도로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고용 상황을 기준으로 한 기저효과는 분명히 있다”며 “그러나 아무리 기저효과가 있더라도 정책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고용통계 개선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강태화 기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