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주열 한은 총재 "화폐단위 변경, 검토한 적도 계획도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작용 적지 않고 국민적 합의 모아지기도 쉽지 않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논란이 된 리디노미네이션(화폐단위 변경)에 대해 "검토한 적도 없고, 추진할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20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리디노미네이션을 기대하는 쪽에서는 기대효과와 장점들을 내세우고 있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그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합의도 모아지기가 쉽지 않다"며 "현재 경제 대외여건이 매우 엄중한 상황인데 국민적 합의도 이뤄지지 않은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건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이주열 한은 총재가 20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한은 제공


화폐단위 변경 논란은 올해 3월 국회 업무보고에서 이 총재가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말한 후 불이 붙기 시작됐다. 리디노미네이션은 예를 들어 1000원을 1원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논란이 커지자 이 총재는 여러 차례 "리디노미네이션을 가까운 시일 내 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 13일 박운섭 한은 발권국장이 국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언젠가는 리디노미네이션을 해야 한다"고 발언하면서 논란이 재점화됐다.

이 총재는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에 대해서는 "오늘 부총리가 일반 시장에 대해 발언을 하신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덧붙일 만한 사항은 없는 것 같고 좀 더 지켜보도록 하자"고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열린 긴급 대외경제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주가, 환율 등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 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는 상황"이라며 "금융시장에 지나친 쏠림 현상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적절한 안정조치를 통해 시장안정을 유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경기반등 시점으로 2분기를 언급했던 전망을 유지하느냐’는 질문에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냈지만 2분기 재정지출이 이뤄지고 수출의 부진함이 차츰 완화되면서 성장률도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었는데 흐름이 당초 본대로 이어가는지 면밀히 보고 있다"며 "미·중 무역분쟁의 진행이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꼼꼼히 지켜보고 있다. 그에 대해선 이달 금융통화위원회(31일)가 끝나고 말할 수 있겠다"고 답했다.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 의견이 늘어날 수 있다는 시장 전망에 대해선 "아마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나오고 미·중 무역분쟁이 불확실해진 영향이 있는 것 같다"며 "그 의견에 대해서도 금통위가 끝나고 말하겠다"고 했다.

[조은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