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수출 감소에 기업실적 부진', 국내 금융리스크로 급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한은, 금융기관 전문가 대상 조사…미중분쟁·성장둔화 경계감 높아]

머니투데이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출 감소세가 심상치 않다. 기업 실적을 떨어뜨리고, 금융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기관 전문가는 국내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복수응답 가능)으로 △미중 무역분쟁(67%)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 등을 꼽았다.

미중 무역분쟁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81%에서 올해 상반기 67%로 낮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꼽은 비율은 67%에서 66%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지난달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마이너스(-) 0.3%로 발표되면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22% 응답률을 보이며 첫 번째 리스크 요인으로 분류됐다.

기업실적 부진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진 수출 감소세에 기업실적 전망에도 그림자가 짙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머니투데이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관세청이 발표한 '5월 1~20일 수출입현황'을 보면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액은 257억9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1.7% 감소했다. 이달말까지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수출은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된다.

가계부채 누증(45%→43%),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리스크(41%→44%)는 지난해 하반기 조사와 비슷한 응답률을 나타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누증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을 단일 항목으로 간주해 응답비중을 시산하면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70% 응답률을 보인다"며 "금융안정에 대한 우려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와 달리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두요 리스크에서 제외됐다.

응답자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은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겨기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중국 금융·경제 불안(6%) 등 순이었다.

◇"단기 발생가능성은 기업실적 부진·성장둔화 높다"=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1년 이내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기 리스크로 평가됐다.

이중 기업실적 부진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음' 수준으로 분류됐다. 미중 무역분쟁은 합의 기대감이 남아있으면서,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1~3년)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로 분류됐다. 발생 가능성은 모두 '중간' 정도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50%는 향후 3년간 국내 금융시스템 안정성이 높은 편이라고 응답했다. 이 응답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조사에 비해 13%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보통'은 56%에서 44%로, '낮다'는 7%에서 6%로 낮아졌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해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52%로 '높다'(4%)를 크게 상회했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와 비교해 '낮다'는 응답은 27%에서 52%로, '높다'는 응답은 29%에서 4%로 크게 반전됐다.

한은 관계자는 "조사 시점에서 금융기관 수익성 등 사정이 양호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3년 이내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가 34%, '낮다'가 24% 응답률을 보였다. 이 역시 지난 조사에 비해 '높다' 비율이 하락했고, '낮다' 비율이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22일부터 5월14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 9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는 매년 2차례 공개된다.

한고은 기자 doremi0@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