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인기폭발' 노브랜드, 골목상권 침해 우려… "상생 시너지 낼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서울의 한 이마트 자제브랜드(PB) 상품 '노브랜드' 매장. 사진/석대성 기자


노브랜드, 가성비 인기 끌며 점포 200개 돌파

소상공인 "골목상권 침해 우려… 대책 세워야"

경영계 "대-중소 간 상생 시너지 나온다" 제언

가격 대비 좋은 제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이마트 노브랜드'의 가맹점 출점 중단 목소리가 나온다.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골목상권 침해' 우려에 대해 경영학계는 협업을 통해 상생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김종대 정의당 의원과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더불어민주당·민주평화당 전북도당 등은 2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기업 쓰나미에 지역경제가 무너진다"고 노브랜드 가맹점 출점을 비판했다. 노브랜드는 이마트의 자체브랜드(PB) 상품이다.

전라북도가 지난 2월 실시한 전북유통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소유통업체가 어려움을 겪는 이유 1위는 임대료·카드수수료(45.9%)였고, 2위는 대형유통업체 출점(39.8%)이었다. 김 의원 등은 조사 결과를 두고 "이마트는 노브랜드 등으로 전국 진출해 중소상인의 생존권을 옥죄고 있다"며 "국회는 대기업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 침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21일 국회 정론관에서 김종대 정의당 의원 등이 '편법, 꼼수 이마트 노브랜드 가맹점 출점 중단'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석대성 기자


이마트는 오는 23일 전주에 두 곳, 군산에 한 곳, 총 3곳의 노브랜드 가맹점을 개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0일 전북소상공인대표자협의회 등 32개 사회단체는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브랜드 매장이 들어서면 주변 상점은 폐업 위기에 내몰릴 것"이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이마트 노브랜드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평가까지 받으며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에 205개 점포를 냈다. 지난 2016년 경기도 용인시에 첫 점포를 낸 이 후 2년 4개월 만이다. 노브랜드는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마트는 실제 지난해 필리핀 유통업계 2위 업체인 '로빈슨스 리테일'과 노브랜드 수출 계약을 맺었다. 2020년까지 필리핀 내 25개의 노브랜드 매장을 설치할 예정이다.

높은 인기에 "골목상권을 침탈한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자영업자의 노브랜드 운영 요청은 아직까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노브랜드의 이번 전주 개점도 지역 자영업자 요청에 의한 것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마트는 지난 2일 충북 제천 중앙시장에 8번째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를 열었다고 전했다. 약 265㎡(약80평) 규모로 충북 지역의 첫 상생스토어다. 사진/연합뉴스


경영학계는 가맹점은 대기업 운영 직영점이 아니라는 것 등을 고려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소상공인 사이 상생 시너지가 나올 수 있다"고 조언했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소상공인 자생적으로 혁신하기엔 힘든 상황"이라며 "대기업이 중소기업·소상공인 브랜드를 채워 유통망을 제공해준다면 소비자에게 다가갈 길이 넓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또 노브랜드가 전통시장 안에 입점할 경우 상생스토어 등을 마련하고, 상인회가 직접 운영할 수도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석대성 수습기자 bigstar@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