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연철 “배고픈 아이는 정치를 모른다”…대북지원 필요성 강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도지원과 정치 분리는 국제사회 보편적 합의”

-“한반도정세 소강국면…다양한 방식으로 노력중”

헤럴드경제

김연철 통일부장관은 21일 “배고픈 아이는 정치를 모른다”며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장관이 전날 한국천주교주교회의를 방문해 김희중 대주교와 간담회를 갖고 대북지원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연철 통일부장관은 21일 “배고픈 아이는 정치를 모른다”며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당면현안인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 “인도주의라는 원칙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인도적 지원은 정치와 분리해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보편적 합의”라며 “정부도 인도주의에 따른 기본 원칙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앞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이 북한 현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북한 식량사정이 최근 10년 사이 가장 심각한 수준이며 식량지원이 필요하다고 발표한데 따라 WFP와 유니세프(UNICEF)의 북한 아동, 임산부 영양지원 및 모자보건사업 등 국제기구의 대북지원사업에 800만달러 공여를 추진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특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에티오피아 식량지원을 둘러싼 미국 내 논란 과정에서 나온 ‘배고픈 아이는 정치를 모른다’는 어구를 소개하면서 “대체로 국제사회의 보편적 합의를 상징하는 말”이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에도 인도적 지원단체의 활동을 위축시켜서는 안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데 그런 원칙을 갖고 추진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장관은 대북지원 후속조치와 관련해선 “시기나 규모, 방법은 대통령께서도 국회와 일종의 공감대를 갖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다”며 “통일부도 지금 다양한 차원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다른 한편으로는 실무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들을 준비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장관은 하노이 결렬 이후 한반도정세 흐름에 대해 “일종의 소강국면이라고 할 수 있지만 또 협상의 재개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한미 양국은 일종의 상황관리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고 협상재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도 큰 틀에서 협상이 재개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해 내부적으로 다양하게 의견을 수렴하고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김 장관은 향후 통일부 운영 방향과 관련해선 “인도적 단체, 종교계 등 여러 차원의 정책고객들이 있는데 이들과의 소통을 활발하게 해야겠다고 생각해 자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런 차원에서 참여정부 때 출범했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민관정책협의회를 부활시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정부와 대북지원단체의 협의기구인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민관협)’는 남북교류협력법에 의해 설치된 정부의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와 대북지원민간단체 협의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가 참여하는 민관협력의 상징적 협의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김 장관은 이밖에 이산가족문제와 함께 고성ㆍ철원에서 먼저 시작된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을 비롯한 비무장지대와 한강하구, 서해 일대의 생태환경과 역사문화를 고려한 종합계획 수립을 통일부의 주요 현안으로 꼽았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