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한빛 1호기 불시정지 둘러싸고 “체르노빌 될 뻔했다” VS “과장된 것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원자력발전에 반대하는 단체들이 21일 오후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서 최근 한빛 원전 1호기에서 발생한 수동정지 사고의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광주=뉴시스


원자력발전에 반대하는 단체들이 21일 오후 광주 5·18 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자로 폐쇄를 촉구했다.

지역 27개 단체와 정당으로 구성된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은 재가동 승인을 받은 지 하루 만인 지난 10일 정지한 전남 영광 소재 한빛 원전 1호기의 부실 운영 논란을 체르노빌 참사에 비유하면서 원자로 폐쇄를 주장했다.

체르노빌은 우크라이나의 키예프 북쪽에 있는 도시로, 1986년 4월 원자로에서 방사능이 누출되는 바람에 인류 최악의 원전 사고를 겪은 도시다.

반면 운영업체인 한국수력원자력 한빛원자력본부 측은 안전 설비의 정상 작동을 근거로 제기된 의혹을 “과장됐다”며 일축했다.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은 “이번 사고는 핵 발전소의 부실 운영과 위험성을 증명하는 사건이고, 한국 핵 발전소의 현주소”라며 “사건과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담당자 소수만 처벌하고, 재발 방지책을 강구하겠다는 앵무새 같은 발표가 아닌 근본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수명이 얼마 안 남은 한빛 1호기를 폐쇄해야 한다”며 “부실 시공이 명백한 한빛 3·4호기도 조기 폐쇄해 진정한 탈핵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빛 1호기의 설계수명은 40년으로 오는 2025년 만료된다.

지난 10일 당시 한빛 1호기의 제어봉 제어능력 측정시험 중 열 출력 제한치를 초과해 즉각 원자로를 세워야 했는데도 12시간 가까이 가동했다는 데 비판이 쏟아졌다.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은 “무면허자 운전, 제어봉 조작 실패 등에서 세계 최대 핵 사고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참사와 비견된다”고 우려했다

이에 한빛원자력본부 측은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내고 “한빛 1호기에서 발생한 원자로 수동정지 사건과 관련해 일부 시민단체에서 주장한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처럼 원자로 폭주로 갈 뻔 했다’는 평가는 과장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한빛 1호기는 모든 안전설비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출력 폭주는 일어날 수 없다”며 “안전설비 작동을 차단한 상태에서 시험을 강행하다 출력 폭주가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과 다르다”고 덧붙였다.

한편 규제 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한수원이 한빛 1호기를 시험 가동하던 중 원자력안전법을 위반한 정황이 포착돼 원전을 즉시 정지하고 특별 사법경찰관을 투입해 조사에 들어갔다.

원안위 조사 결과 지난 10일 오전 10시30분 한빛 1호기의 제어봉 제어능력 측정 시험을 시작한 지 1분 만에 원자로 열 출력이 제한치 5%의 3.6배 수준인 18% 수준으로 올랐다.

원자로의 열 출력은 1시간에 3% 올리는 것이 원칙인 점을 감안하면 폭발적으로 열이 발생한 것이다.

알고 보니 자격증이 없는 일반 정비원이 제어봉을 조작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제어봉 가동 시험은 위험도가 높아 원자로 조종 면허나 관련 감독자 면허를 가진 직원이 직접 조작한다.

면허 소지자가 감독하면 일반 정비원도 제어봉을 제한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나 면허 소지자인 발전팀장은 원안위 조사 때 “당시 현장에서 정비원에게 제어봉을 만지라고 지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지난 17일 한수원은 시험 가동에 참여한 발전팀장과 운영실장, 발전소장 등 3명을 보직 해임했다.

양봉식 기자 yangb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