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날씨를 보인 14일 오후 대청호 소나무숲에 송홧가루 등 뿌연 꽃가루가 날리고 있다.김성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직장인 권모(28)씨도 지난 3주간 눈이 따갑고 재채기‧콧물이 나서 고생했다며 “꽃가루 때문에 괴로워서 밖에 나가기가 무서울 정도”라고 호소했다.
미세먼지 다음은 꽃가루…알레르기 환자 증가
서울지역 기준 꽃가루달력.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꽃가루 분포는 이와 비슷하고, 제주도의 경우 삼나무가 특히 많은 점이 다르다. [국립기상과학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20~30%가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고, 그중 꽃가루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2012년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꽃가루 알레르기의 강도도 더 심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기상과학원은 지난달 ‘꽃가루 달력’을 공개했다. 꽃가루는 나무‧초목‧잔디류에서 생긴다. 봄(4~5월)은 나무, 가을(8월 중순~10월 초순)은 돼지풀·환삼덩굴·쑥 등 초목류가 기승을 부린다.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조유숙 교수는 "봄~가을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가 꾸준히 있다"며 "꽃가루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알레르기 검사 키트 55종 물질 중 3분의 2가 꽃가루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약하지만 많은 ‘소나무’, 적지만 강한 ‘참나무’
송화가루를 내는 '소나무 꽃'.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나무 꽃가루가 날릴 때 참나무(도토리나무 등) 꽃가루도 많이 날린다. 이는 알레르기를 심하게 유발한다. 국립생태원 천 박사는 “도심 알레르기의 주범은 산에서 날아온 참나무 꽃가루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혜정 교수는 “가끔 산에 올라갔다가 알레르기가 심해져서 기절하는 사람도 있다”고 전했다.
여름엔 잔디꽃가루‧버들씨앗 주의
'베이징 꽃가루 상황'이라며 화제가 됐던 흰 덩어리들은 사실 버드나무 종류의 씨앗이 뭉친 것이다. [환구망 화면 캡처] |
지금은 솜털 씨앗이 날아다닐 때다. 천 박사는 “얼마 전 중국 베이징에서 흰 꽃가루가 눈처럼 날린 적이 있는데, 이게 이태리포플러‧은백양‧능수버들 등 버드나무‧포플러의 씨앗이 뭉친 것”이라며 “민들레 홀씨처럼 생긴 이 씨앗이 날아다니면서 코에 들어가 자극한다”고 말했다.
6월에는 잔디·돼지풀·쑥 등의 여름 꽃이 핀다. 셋 다 알레르기를 심하게 일으킨다. 돼지풀과는 꽃가루가 많고 최소 2㎞ 날아간다. 버려진 땅 어디서든 자랄 정도로 번식력 강한 외래종이다. 쑥은 여름에 개화한다.
이 외에도 벼, 우산잔디 등 잔디류는 일년 내내 조금씩 꽃가루를 날린다. 도심의 잔디는 꽃대를 잘라내 꽃가루가 없는 경우도 많지만, 그래도 잔디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잔디밭에 누울 때는 주의해야 한다. 국화과 꽃도 3~11월 꽃을 피우며 조금씩 꽃가루를 날린다. 조창범 연구사는 “꽃가루에서 안전한 달은 없다”고 말한다.
알레르기 환자는 도심 '자작나무' 주의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숲. 자작나무는 참나무목 자작나무과로, 알레르기 유발성이 강한 편이다. 곧게 뻗는 줄기와 흰 껍질로 '나무의 여왕'이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최근 도심 일부지역에 조경수로 쓰이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새로 도심에 등장한 알레르기 꽃가루는 자작나무다. 북쪽에 자생하는 나무인데, 최근 도심 아파트 단지나 골프장에 조경수로 많이 쓰인다. 조창범 연구사는 “자작나무가 쭉쭉 뻗고 보기에 좋아서 관상용으로 심는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예쁘다고, 녹화가 빨리 된다고 삼나무를 전국에 심던 일본은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가 인구의 40%인 33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지자체가 가로수를 심을 때 알레르기 유발여부를 잘 따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