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美 "정보 빼돌릴 위험"… 다음 타깃은 중국 드론업체 DJI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中 무역전쟁]

국토안보부, 美기업들에 경고문

"권위주의 국가 기업이 만든 드론, 개인·조직의 기밀 유출 가능성"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와 중국 국영 철도차량 회사에 이어 이번엔 중국 드론 회사 압박에 나섰다. 중국산 드론이 미국 개인과 기업의 정보를 빼내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 국토안보부(DHS)는 20일(현지 시각) 미국 기업들에 "권위주의적인 외국 정권의 영향력 아래 있는 업체가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드론을 사용하면, 사용자 개인이나 조직의 정보가 수집돼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경고문을 발송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DHS는 "중국 정부가 자국 시민에게 국가 정보활동을 지원하라는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고 밝혀 이 경고가 중국을 겨냥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드론에는 카메라와 센서가 달려 있기 때문에, 드론 사용자도 모르게 수집된 정보가 중국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DHS가 특정 드론 제조업체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80%가 중국 기업 DJI에서 제조한 것이라고 CNN은 전했다. 2006년 중국 선전(深圳)에서 창립한 DJI는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1위 기업이다. DJI는 이날 성명을 내고 "우리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와 대형 기업들이 (우리의) 기술 보안을 독자적으로 검증했다"고 반박했다.

미 행정부가 중국산 드론에 의한 정보 유출 우려를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 육군은 DJI가 중국 정보와 기밀을 공유한다고 판단, 2017년부터 DJI가 제조한 드론 사용을 금지해 왔다.

앞서 지난 19일 척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며 중국 국영철도 차량회사 중궈중처(中國中車)가 디자인한 뉴욕 지하철 차량 설계안을 조사해 달라고 미 상무부에 요청했다.

[뉴욕=오윤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