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르노삼성 임단협 부결]노노갈등이 최대 원인(?)…르노삼성 어디로 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잠정합의안 찬반투표 반대 51.8%로 최종 부결

- 영업지부 반대표 65.6%…‘소통 부족’ 수면위로

- 부산공장 높은 찬성률…생산물량 확보 공감대

- 노조 내부 의견 조율이 우선…2차 투표 기대감

헤럴드경제

부분 파업으로 작업이 멈춰선 르노삼성차 부산공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생산 절벽으로 신음하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가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 찬반투표 부결로 또다시 벼랑 끝에 섰다. 노노(勞勞) 갈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향후 2차 투표 결과도 예단할 수 없게 됐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지난 21일 조합원 2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총회에서 ‘2018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벌인 결과, 찬성 47.8%, 반대 51.8%로 최종 부결됐다.

앞서 부산공장 기업노조 소속 조합원들은 52.2%의 역대 최대 찬성률을 보이며 극적 타결의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440여명 규모의 영업지부 소속 노조원 중 65.6%가 반대표를 던지면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조 내부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실제 영업지부는 과거 임단협 관련 찬반투표에서 70%에 육박하는 높은 찬성률을 보였던 곳이다. 이번 잠정합의안에서 도출된 34.4%의 찬성률에 다른 이유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헤럴드경제

르노삼성차 CEO 도미닉 시뇨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부산공장 노조와 달리 전국 곳곳에 퍼진 영업지부의 특성상 잠정합의안에 대한 내용이 전파가 안 됐거나 집행부에 대한 불신임 등 내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부산공장의 찬성률이 높게 나온 만큼 노조 내부에서 원인 분석과 지부별 의견을 정리하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생존을 위한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악순환 우려는 커지고 있다. 르노삼성차는 ’닛산 로그‘의 계약 종료를 앞두고 후속 생산물량 배정이 무산되면서 공장 가동률 확보에 대한 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상태다.

노사 분규가 장기화하면서 내년 출시하는 CUV ’XM3‘의 유럽 수출물량 배정도 계속 미뤄지고 있다. 르노 본사는 해당 물량을 생산비용이 낮은 스페인공장으로 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악의 경우 부산공장 생산물량은 10만대 아래로 추락할 가능성이 크다.

근무 강도를 완화해 달라는 노조의 요구와 달리 생산 절벽에 따른 인력 구조조정도 예상되는 시나리오 중 하나다. 물량 확보가 무산되면 현재 2교대 근무 형태를 1교대 근무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 이달 말 예정된 셧다운(가동 중단) 이후 생산라인 중단도 불가피하다.

헤럴드경제

르노삼성차가 밝힌 추정 손실액은 현재까지 약 3000억원에 달한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내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4% 감소한 2만2800여대에 불과하다. 국내 5개 완성차 업체 중 최하위다. 경영 정상화를 위한 매듭이 중요한 대목이다.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것과 동시에 판매망 확보가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향후 일정은 미정이다. 다만 과거 사례를 보면 2차 잠정합의안 찬반투표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르노삼성차는 지난 2014년과 2016년, 2017년 1차 투표 부결 이후 재투표를 통해 노사간 합의를 이뤘다.

부산공장지부와 영업지부 등 노조 내부의 입장 정리와 원인 분석이 관건이다. 노조 내부의 문제를 정리해야 사측과 2차 투표 일정을 조율할 수 있다. 앞서 진행했던 임단협 사례를 고려하면 잠정합의안이 수정될 가능성은 작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미래 물량 확보와 고용 안정, 협력업체와 지역경제 회생 등 노조원들도 임단협 마무리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며 “노조 내부 목소리가 하나로 합쳐진 상황에서 진행하는 2차 투표에선 긍정적인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