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기생충’ 봉준호 감독 “한국 특유의 ‘반지하’라는 공간 보여주려 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영화 <기생충> 봉준호 감독과 배우들이 지난 21일 열린 공식상영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계급·계층 구분을 영화적으로 표현할 때 계단과 같은) 수직적 공간을 활용한 영화는 그동안 서구에도 많았다. 우리는 한국에만 있는 반지하라는 공간이 나온다. 불어 자막, 영어 자막을 만들 때 반지하에 해당하는 정확한 단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반지하는 독특하다. 분명히 지하인데 지상으로 믿고 싶어지는 공간이다. 눅눅하고 힘든 공간인데, 영화는 반지하 집에 햇살이 드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반지하만의 공포감도 있다. (경제적으로) 더 힘들어지면, 영화 속 누군가 처럼 완전히 지하로 간다는 공포감이 있다. 이런 반지하라는 공간은 서구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영화 <기생충>으로 72회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된 봉준호 감독(50)은 22일(현지시간) 팔레 드 페스티벌 3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설국열차>가 계급·계층간 갈등을 수평적으로 풀어냈다면 <기생충>은 수직적으로 풀어낸 것이냐’는 기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기생충>은 서민층 기택(송강호)과 부유층 박 사장(이선균) 두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영화다. 빈부격차, 계급·계층 갈등을 봉 감독 특유의 유머러스하면서도 공포스러운 시각으로 풀어낸다.

봉 감독은 “이야기의 90%가 다 집안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박 사장 집이 2층, 1층, 지하로 수직적으로 나뉘어져 있고 계단 장면이 많아 저나 스태프들은 (별칭으로) ‘계단 영화’로 부르기도 했다. 계단을 영화에서 잘 활용하신 김기영 감독의 <하녀> <충녀>를 다시 보면서 김 감독님의 계단 기운 받으려 했다”고 말했다.

전날 밤 열린 공식 상영회에서는 영화가 끝나고 약 8분간 기립 박수가 이어졌다. 이에 대해 봉 감독은 “칸에서 기립 박수는 늘 다 있는 거니까 우리가 굳이 분과 초를 잴 필요 있나 싶다. 다만 <옥자> 촬영감독 다리우스 콘지, 틸다 스윈튼 등 많은 동료들이 축하해준 상영이고 따뜻한 분위기라 좋았다”고 말했다.

장르를 구분하자면 전반적으로 블랙코미디 영화지만, 공포·스릴러 못지 않은 긴장감도 준다. 이에 대해 봉 감독은 “한 영화 속에서 장르를 확확 바꾸는 것을 미리 설정하느냐고 질문을 많이 받는데, 여기부터 공포고 여기부터 코미디라고 의식하지 않는다. 촬영도 그때 그때 장면 뉘앙스에 집중한다. 만드는 제 입장에서는 장르를 의식하지 못한다. 만들고 나서 이 장면 무섭긴 하구나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만들 때 의식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 영화에는 미장센·슬로 모션 등 봉 감독의 전작에서 봐 왔던 봉 감독 특유의 장면이 많이 담겨 있다. 이에 대해 그는 “(셀프 오마주를) 의도한 적은 없다. 평소 하던 대로 자연스럽게 시나리오를 쓰고, 스토리보드를 그렸다. 처음 작업하지만 좋아하는 배우들과 찍다 보니 제 느낌대로 나왔고, 보시는 관객 입장에서는 그렇게 보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냥 저 자신의 평소 스타일이 유지된 것 같다”고 말했다.

봉 감독과 4번째 영화 작업을 같이 한 배우 송강호는 “봉준호 감독은 작가로서 사회를 바라보는 깊은 통찰력을 매 작품을 통해 한 순간도 놓치지 않았다. <기생충>이 예술가 봉준호의 진화이자 한국영화 성숙도를 잘 표현한 것 같아 굉장히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봉 감독 영화에 처음 출연한 배우 이선균은 “봉준호의 아름다운 패키지 여행처럼 느껴졌다. 연기할 때 쉽게 안내해주는 가이드가 있는 게 얼마나 행복한지 알게 됐다. 거장이시라 긴장되고 떨렸는데 촬영 몇회차만에 그냥 동네 영화 잘 찍는 형처럼 느껴졌다. 행복했다”고 말했다.

김경학 기자 gomgom@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