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6년간 3만명 금융상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년간 10만건 상담…연령별 50대↑76%

개인파산면책 5166명…개인회생 213명

뉴시스

【서울=뉴시스】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채무조정 신청자의 소득 수준. 2019.05.23. (사진=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윤슬기 기자 =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가 지난 6년간 가계부채에 시달리는 서울시민 3만 여명의 금융상담을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3년 간 채무조정 서비스를 받은 시민 3224명 중 월 평균 소득 100만 원 이하인 이들의 비율이 90%에 달했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센터)가 2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7월 개소 후 시민 3만 여 명에게 총 누적 10만회(4월 말 기준)가 넘는 금융복지 관련 상담을 실시했다.

센터가 지난 6년 간 제공한 금융상담은 10만704건이었다. 유형별로는 ▲개인파산 6만8018건(67.5%) ▲개인회생 7636건(7.6%)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4621건(4.6%) ▲재무설계 1785건(1.8%) ▲서비스연계 2292건(2.3%) ▲정보제공 8135건(8.1%) ▲기타 8217건(8.2%) 등이다.

2013년부터 이뤄진 집계 결과 채무조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5379명은 개인파산면책(5166명)과 개인회생(213명)의 형식으로 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특히 2016년부터 3년 간 채무조정 서비스를 받은 시민 3224명 중 '월 평균 소득 100만 원 이하'라고 밝힌 이들의 비율은 90%에 달했다. 도저히 빚은 갚을 수 없는 한계상황에 이른 시민이 채무 조정상담을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

채무조정자의 부채발생 사유로는 주거·의료·교육비 등의 지출로 발생한 생활비 마련(45.56%)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사업자금 마련(29.18%), 보증채무(9.05%) 등으로 조사됐다.

연령 분포로는 60대 이상이 46%, 50대가 30%로 조사됐다. 퇴직이나 고령 등으로 소득 활동이 어려운 시민들도 채무조정 서비스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채무조정신청액은 지난달 말까지 1조 2812억 원을 넘어섰다.

아울러 센터는 서비스 연계 측면에서 시의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함께 '찾아가는 금융상담·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회생법원, 고용복지플러스센터, LH마이홈센터 등과 법률 및 주거·일자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1644-0120)는 중앙센터를 포함해 시청, 성동, 마포, 도봉, 금천, 영등포, 양천, 송파, 중랑, 구로, 성북, 관악, 노원센터 등 14개 지역센터가 있다. 올해 하반기 중 지역센터 1개소가 추가로 개소할 예정이다.

황치영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가계부채 문제를 복지 개념으로 해결하고자 했고, 그 결과 5000명이 넘는 시민의 가계부채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보다 나은 금융복지를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yoonseul@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