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작년 ICT 산업 생산액 497.3조원, 역대 최대규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은 지난해 국내 정보통신기술(ICT)산업 생산액 규모는 역대 최고인 497조2994억원으로 전년대비 5.4%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반도체를 비롯한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의 수출호황에 따른 생산 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도 ICT산업 생산액 497조원은 전체 산업 생산액(4144조원)의 12.0%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전체 ICT산업 생산액 중 정보통신방송기기가 365조5480억원으로 73.5%를 차지했으며 정보통신방송서비스는 15.3%인 76조2231억원, 소프트웨어는 11.2%인 55조5283억원을 기록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방송기기는 반도체 중심의 전자부품(237.3조 원, 8.4%↑) 및 차세대 저장장치(SSD) 기반 컴퓨터 및 주변기기(12.0조 원, 5.9%↑)의 수출 확대가 정보통신방송기기 생산액 증가를 주도하며 전년대비 6.6% 증가했다.

반도체는 메모리반도체 공급부족현상 등으로 인한 고가격대 유지, 국내 생산라인 증설 등으로 전년대비 19.5% 증가한 141조원을 기록했다. D램이 전년대비 26.8% 늘어난 59.6조원, 플래시메모리가 27.5% 증가한 32.5조원, 기타 메모리반도체도 17.3% 늘어난 12.8조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평판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수요확대에도 불구, 중국업체와의 경쟁심화로 LCD패널 가격 하락 등으로 전년대비 5.4% 감소한 65.9조원에 머물렀다. 휴대폰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둔화와 휴대폰 및 부분품 해외 생산 확대로 전년대비 1.9% 감소한 32.1조원에 머물렀다.

통신서비스는 선택약정할인 가입자 증가 등에 따른 무선통신서비스 매출 정체와 유,무선 대체로 인한 유선전화 매출 악화 등으로 전년대비 2.0% 감소한 37.3조원을 기록했다. 방송서비스는 지상파방송서비스의 매출감소에도 불구, 유료방송서비스인 IPTV서비스의 높은 매출 증가로 전년대비 4.5% 증가한 18.4조원을 달성했다.

정보서비스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산업혁명 관련 정보인프라서비스의 수요 확대, 웹서치 포털의 광고 매출액 증가, 전자결재관련 서비스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한 20.6조원을 기록했다.

정보통신방송서비스는 통신서비스의 매출 소폭 감소에도, IPTV 매출 호조로 방송서비스와 4차 산업혁명 확대에 따른 정보서비스 수요 확대로 전년대비 1.8% 증가한 76.2조원으로 집계됐다.

소프트웨어는 대형 IT서비스 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물류 솔루션 등 패키지SW 부문으로 진출 증가세와 모바일 게임의 성장 등에 따른 게임SW의 매출 증가로 전년대비 2.8% 증가한 55.5조원을 생산했다.

2018년도 중소기업 ICT산업 생산액 규모는 전년 대비 2.1% 상승한 98조2882억원으로 전체 ICT생산액의 약 19.8%를 차지했다. 부문별로는 정보통신방송기기가 65.6%, 정보통신방송서비스 8.8%, 소프트웨어 25.5%로 집계됐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