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2017년 지진과 관련 없으면 그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포항지진범대위 "지진유발, 환경오염 가능성…즉시 폐쇄해야"

연합뉴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사업 플랫폼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2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포항분지 해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 플랫폼'이 가동을 멈춘 채 서 있다. 정부와 연구진은 2017년 이산화탄소 시험 주입을 마치고 본격적인 연구를 하려고 했으나 2017년 11월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한 뒤 연구를 중단했다. 2019.5.2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경북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CCS) 사업에 따른 이산화탄소 주입 행위가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지진과 관련 없다는 조사 결과에 포항시민이 반발하고 나섰다.

포항 50여개 단체가 만든 '포항 11·15 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포항지진과 이산화탄소 실증사업 간 연관성 조사는 단순히 2017년 11월 15일 지진과 연관성에 대한 조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지진유발과 심각한 환경오염, 누출시 질식사까지 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는 지난 24일 오후 서울대에서 'CCS 연구와 2017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연구' 발표회를 통해 CCS 사업과 2017년 규모 5.4 포항지진 사이에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내·외 자문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의 포항지진 야기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고 발표했다.

범대위는 이에 대해 "미국 조지메이슨대 엘리자베스 박사는 'CCS는 지진유발, 수질오염, 환경피해, 질식사고 가능성으로 과학적 연구보다 '탄소 격리' 위험성을 대중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며 "미국 스탠퍼드대 마크 조백 교수 연구진은 2012년 6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지진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하는 등 학계에서는 CCS 위험성을 이미 여러 차례 경고했다"고 설명했다.

또 서울대 김준모 교수는 지표유출에 의한 인간과 생태계 위협, 지반 융기 및 지진 유도 위험성을 경고했고 육군사관학교 오경두 교수는 지진 촉발 문제를, 가천대 김창섭 교수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비현실적이라고 발표했다는 내용을 언급했다.

범대위는 "일부 국가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CCS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선진국인 독일, 네덜란드 등에서도 대중 수용성 없이 사업을 추진하다가 좌초한 사례가 있다"며 "지진발생에 따른 주민불안 해소를 위해 검증되지 않은 실증사업인 CCS 시설을 즉시 폐쇄하고 원상복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포항 앞바다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2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포항분지 해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 플랫폼'이 가동을 멈춘 채 서 있다. 정부와 연구진은 2017년 이산화탄소 시험 주입을 마치고 본격적인 연구를 하려고 했으나 2017년 11월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한 뒤 연구를 중단했다. 2019.5.2



sds12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