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검사 10여명 등 관련 내용
진상조사단, 과거사위에 최종보고
"재수사, 상당성원칙 훼손" 의견도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사건에 연루된 전현직 검사들이 재조사를 통해 거명되면서 검찰 인사들도 수사를 받게 될지 주목된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 검찰과거사진상조사단은 검찰과거사위원회 최종 보고에 김 전 차관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를 받는 건설업자 윤중천씨의 별장에서 명함이 나왔던 전현직 검사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했다. 진상조사단은 김 전 차관과 윤씨의 특수강간 혐의에 대해서도 적시한 것으로 보인다. 김영희 진상조사단 총괄팀장은 “전체적으로 보고했고 과거사위에서 (재수사 권고 대상으로) 채택하느냐의 문제는 남아 있다”고 말했다. 검찰의 과거 인권침해 및 검찰권 남용 등에 대한 반성으로 출범한 법무부 산하 검찰과거사위는 오는 31일 1년6개월간의 활동에 종지부를 찍는다. 과거사위는 29일 김 전 차관 사건에 대해 최종 브리핑을 하고 추가 수사 권고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2013년 ‘별장 성접대’ 사건 1차 수사 당시 윤씨의 원주 별장에서는 당시 차장검사, 전 검찰총장을 포함한 검찰 인사 10여명의 명함이 발견됐다. 경찰은 별장 압수수색을 통해 명함을 확보했지만 명함 주인과 윤씨의 관계, 뇌물수수 여부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수사를 진행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김 전 차관을 제외하고 윤씨의 접대에 연루된 검찰 인사들은 수사망을 피해갔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수강간 혐의의 경우 김 전 차관과 윤씨에게 합동으로 성폭행당했다고 주장하는 피해자가 검찰에 추가 고소장을 접수한 상태다. 앞선 재수사 권고에 따라 차려진 일명 ‘김학의 수사단(단장 여환섭 청주지검장)’은 김 전 차관의 구속기간이 만료되는 다음달 4일 전에 두 피의자를 일괄 기소할 방침이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