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질 개선 서울 국제포럼 개최… 韓-中-日 등 6개국 35개 도시 참가
“석탄 난방-경유차가 최대 오염원”
서울시 황보연 기후환경본부장은 28일 우리 사회의 통념과는 좀 다른 이야기를 꺼냈다. 한국인을 괴롭히는 미세먼지의 ‘무책임한 제공자’로 지목되는 중국이지만 미세먼지 저감 대책에는 대단히 적극적이라는 얘기다.
황 본부장은 “중국도 미세먼지는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성(省)마다 공산당 행정평가에서 (미세먼지 저감)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담당 공무원의 자리보전이 어렵다고까지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뿐 아니라 현재 아시아 국가와 도시가 당면한 가장 어려운 환경 문제는 미세먼지”라고 강조했다.
중국과 아시아 도시들이 미세먼지 문제로 얼마나 고민하는지는 지난주 열린 ‘2019 대기질 개선 서울 국제포럼’에 참석한 도시 수로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만 베이징(北京), 홍콩, 구이저우성, 윈난성, 후난성을 비롯한 성과 도시 등 16개 지역에서 대표를 보냈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기질 포럼에 온 중국 성·도시 수와 비교하면 이번이 가장 많다. 일본, 몽골, 베트남, 싱가포르에서도 참석해 서울 경기 인천 등 국내 도시까지 합하면 역대 최다인 35개 도시가 자리했다.
포럼에서 중국 베이징시와 선전(深(수,천))시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가장 큰 미세먼지 발생원으로 지목했다. 리쿤성(李昆生) 베이징시 생태환경국 처장은 “운행 차량 700만 대에서 내뿜는 가스가 베이징 초미세먼지 발생의 40%를 차지한다”며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강화하고 노후 경유차량은 폐차하거나 교체하도록 하고 있다. 2020년까지 전기차 40만 대 보급이 목표”라고 말했다. 선전시는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중 대중교통의 비율이 2009년 31%에서 2014년 41%로 높아졌다. 선전시 관계자는 “전체 자동차의 10%가량인 경유차량 30만 대에서 자동차가 배출하는 초미세먼지의 85% 이상을 내뿜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등은 서울시도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서울시는 7월부터 종로구 8개 동과 중구 7개 동 등 사대문 안 녹색교통진흥구역에 노후 경유차를 비롯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금지한다.
현경선 시 국제협력팀장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서울을 비롯해 한국 중국 일본 몽골의 10개 도시로 구성된 ‘동아시아 맑은 공기 협의체’ 모임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본부장은 “미세먼지가 어디서 왔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도시끼리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실용적인 접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