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른바 '김학의 사건'에 대한 검찰 과거사위원회의 최종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우선 2013년과 이듬해 검찰과 경찰의 수사 모두 부실했고, 나아가 입막음을 위한 봐주기 수사가 의심된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사건의 진실이 6년 동안 은폐되는 데 박근혜 청와대의 외압이 의심된다며 검찰 수사로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기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두 달 전, 김 전 차관의 뇌물 혐의 등에 대해 재수사를 권고한 과거사위는 이번엔 과거의 부실 수사 의혹과 이른바 '윤중천 리스트'의 실체를 밝히는데 주력했습니다.
과거사위는 우선 2013년과 이듬해, 두 차례에 걸친 검찰과 경찰의 수사가 직무유기에 해당할 수 있을 정도로 부실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무엇보다 뇌물 의혹은 무시하고, 성범죄 혐의만 수사한 부분부터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윤중천 씨와 김 전 차관에게 면죄부를 주기 위한 수순은 아니었는지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실제로 윤 씨가 김 전 차관을 상대로 접대하고 금품을 건넸다는 정황이 기록에 남아 있었지만 검찰은 계좌 추적이나 압수수색 등 어떤 강제수사도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1차 수사 때 검찰이 윤 씨의 3백억 원대 사기대출 혐의를 수사하고도 재판에 넘기지 않았는데, 검찰 관계자들에 대한 폭로성 진술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검경 수사에 함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은 당시 청와대뿐이라며, 외압에 의한 부실수사인지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용민 /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회 위원 : 수사에 영향을 미친 것이 결국에는 청와대라고 의심이 되고 김학의 임명 강행의 배경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상당한 의심을 지울 수 없는 조사결과였습니다.]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앞으로 검사가 연루된 범죄를 객관적으로 수사할 수 있도록 공수처 도입 논의에 법무부와 검찰이 적극 참여하라고 권고했습니다.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레알마드리드 유소년 축구캠프 with YTN PLUS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