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자율주행차 키우려면 R&D 지원 확대·제도 정비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동차산업연합회, 제2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개최

연합뉴스

자율주행차(PG)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자율주행차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법규를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김준기 실장은 30일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대회의실에서 '5G 시대 개막과 자율주행차'를 주제로 개최된 제2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준기 실장은 '자율주행차산업 발전 과제' 발표에서 "센서·인공지능(AI)·차량용 반도체 등 핵심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정부의 R&D 지원 확대와 기업 R&D 투자세액 공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2025년 자율차 분야 소요인력(약 9천명)을 감안해 핵심인력을 양성해놔야 한다"며 "제도적으로도 무인화 시대에 대비해 미국처럼 운전자 정의 및 개념에 자율주행시스템을 포함하고, 군집주행 관련 법규 개정을 업계 실증테스트 시기에 맞춰 20년까지 단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라이다 등 센서 가격하락, AI 등 핵심기술 혁신 등으로 자동차업체들은 내년에 레벨4 수준 자율차를 시장에 공급하고, 2030년에는 레벨4 이상 자율차가 신차판매의 20∼40%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동차부품연구원 곽수진 팀장은 '자율차 시대의 도래와 5G 통신 기술' 발표에서 "민간은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를 통합하고 상용화를 가속화 하고, 정부는 핵심기술 국산화와 인프라 협조, 무인화 대비 등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율차 시범도로, 실험도시 등 스마트카 테스트베드 구축과 자율차 관련 국제 표준 마련에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제2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제공]



자동차산업연합회 정만기 회장은 이날 인사말에서 자율주행차 관련 경쟁력 수준을 4개로 나누면 현대차그룹은 중간정도라고 평가하고 "소프트웨어, 시스템반도체, 센서 등 핵심기술력과 부품업체 역량이 취약한 것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정 회장은 "전체 신차 중 완전자율주행 비중이 2025년 7%, 2035년 4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AI 기술에서 중국이 2016년에 추월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우리의 대비가 소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 주최로 개최됐다. 연합회는 자동차산업 관련 6개 기관(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자동차공학회,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의 연합체로 올해 3월에 발족했다.

mercie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