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5G시대 K팝 파워 더 키우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출범 10년 콘진원 김영준 원장

지구촌 BTS팬 동시 연결 가능

동남아 편중 한류팬도 넓어져

상업성 강한 장르 투자 늘려야

중앙일보

25~26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공연한 방탄소년단. 다음 달 1일(현지시간)에는 영국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무대에 선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방탄소년단(BTS)의 영국 웸블리 공연을 네이버 V라이브를 통해 전 세계에서 생중계로 볼 수 있을 거라고 누가 상상했겠어요. 5G가 상용화되면 이제 각국의 아미(방탄소년단 팬클럽)가 함께 합창하는 것도 가능하겠죠. 초연결은 물론 초고속·초저지연·초대용량 사회에서 콘텐트는 기존의 시공간을 초월한 형태로 소비될 겁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김영준 원장(사진)의 말이다. 지난 23일 서울 상암동 사무소에서 만난 그는 신한류를 이끌 동력으로 ‘K팝으로 인한 낙수효과’를 꼽았다. BTS·블랙핑크 등 아이돌 그룹의 세계적 활약으로 한국 문화에 높아진 관심을 K애니·K뷰티 등 다양한 장르로 확산할 수 있는 적기란 얘기다. 지난해 콘텐트 수출액은 전년 대비 8.8% 증가했지만, 음악은 이를 웃도는 11.9%의 성장세를 보였다.

김 원장도 대중음악계를 거쳤다. 1995년 윤도현 등이 소속된 다음기획을 설립해 2013년까지 대표를 지냈다. “그때가 K팝의 태동기였다면 최근의 성장세는 단연 돋보인다”며 “음악 시장이 다변화되는 모습을 보면 중국·일본·동남아 등에 70% 넘게 집중된 수출 편중 현상도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출범 10년 콘진원 김영준 원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OCCA는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2009년 5월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한국게임산업진흥원·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문화콘텐츠센터·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등 5개 기관이 통합해 탄생했다. 이후 10년 간 콘텐트 산업 매출은 67조원에서 116조원으로 1.7배, 수출은 26억 달러에서 75억 달러로 2.9배 늘었다. 음악분야는 지난해 수출 75억 달러 중 5억 달러를 차지한다.

하지만 김 원장은 “산업의 성장 속도와 KOCCA의 인지도가 비례해서 증가하진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가 “현장과 괴리감을 좁히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하는 것은 그래서다.

“저희가 지원해줘서 BTS가 잘됐습니까? 아니에요. 민간이 잘한 거죠. KOCCA 예산의 83%가 지원사업에 쓰이는데, 10년 동안 지원해도 콘텐트 기업의 80~90%가 여전히 영세기업입니다. 아픈 지적이죠.”

과감한 변화를 주장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공공성 강한 장르는 지원하되 상업성 강한 장르는 투자와 융자를 병행해야 진정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 “지원을 축소하자는 얘기가 아닙니다. 투자 대비 효과를 높이자는 거죠. 10년 전 케이블 TV에서 IPTV로 넘어갈 때 엄청난 투자가 이뤄졌던 것처럼, 지금은 5G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시기잖습니까.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야 민간 투자도 더 활성화되죠.”

개원 10주년을 맞아 KOCCA는 ‘콘텐츠 넷 코리아’라는 새로운 비전을 발표했다. 장르 간 경계, 창작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트를 중심으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를 연결하겠다는 포부다. 2017년 11월 취임 당시에도 그는 인적 네트워크를 강조하며 “영혼보다는 파워 있는 원장이 되겠다”고 말했다. 지난 18·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에서 활동한 이력 때문에 코드인사 논란이 일기도 했다.

3년 임기 중 딱 절반이 지난 지금은 좀 자유로워졌을까. “공공기관은 정부 국정과제를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기관장이 국정철학에 반할 수는 없죠. 그런 의미에서 지금 하는 일도 정치라고 생각합니다. 정치적 지향점이 다르다고 불이익을 준 바가 없을뿐더러 오히려 친정부 성향 단체들에 비판받고 있죠. 임기를 마치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글=민경원 기자,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storym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