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국민대 “학생과 총장선출안 논의” 캠퍼스에 불어닥친 직선제 열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립대 138개교 중 학생 참여 3곳 불과
숙명·연세 등 학생발 직선제 요구 확산
서울신문

국민대가 학생들과 함께 총장선출방식 변경을 논의하기로 했다. 전국 대학 학생회들도 총장직선제를 위한 법 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학가에서 확산되고 있는 총장직선제 요구가 실현될지 관심이 쏠린다.

6일 국민대와 국민대 총학생회 등에 따르면 국민대 학교법인(국민학원)은 다음달 총학생회를 포함한 학교 구성원들과 총장선임 규정 개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준배 국민대 총학생회장은 “총장선임규정 개정 논의를 7월부터 시작해 9월 이사회에서 개정을 완료하기로 했다”면서 “학생회는 이 자리에서 학생도 참여하는 총장 직선제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민대 관계자는 “논의에는 학교법인과 총학생회, 교수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대는 그동안 총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후보자를 뽑고 이사회가 총장을 임명하는 간선제를 택해 왔다. 국민대 총학생회는 학생 참여를 보장하는 총장직선제를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벌였다.

서울대, 연세대 등 전국 36개 대학 총학생회로 구성된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전대넷)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학생이 직접 총장을 뽑지 못하는 현실 속에 대학생들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학생 참여 직선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고등교육법과 사립학교법을 개정해 학생 투표 반영 비율을 법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학생이 직접 총장선출에 참여하는 사립대학은 이화여대와 성신여대 등 2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12월 직선제로 총장을 선출한 상지대를 포함해도 3곳에 그친다.

앞서 숙명여대는 지난달 23일 7년 만에 전체총학생회를 열고 ‘총장직선제 촉구 결의안’과 ‘총장·이사회 공개 면담 추진안’을 통과시켰다. 연세대와 경희대도 학생이 참여하는 총장선출 규정 개정을 두고 갈등이 빚어졌다.

임은희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87년 민주항쟁 이후 대학들이 총장직선제를 도입했지만, 교수들만 참여하는 직선제였을 뿐 학생이 총장 선출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2017년 ‘정유라 사태’ 이후 이화여대가 처음”이라면서 “학생이 참여하는 직선제 요구는 점차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