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삼성 재입사가 꿈"…베트남삼성 노동자 출신 유학생 '화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외대 삼티완 씨…삼성 "재입사 관심 갖고 지켜볼 것"

연합뉴스

부산외대 한국어어문학부에서 유학 중인 삼티완 씨
[부산외대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삼성에 정식 입사해서 회사의 리더가 되고 싶어 한국으로 건너와서 한국말을 배우고 있어요."

삼성전자 베트남 현지 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다가 관리직 사원으로 정식 입사하고 싶어 자신이 번 돈으로 현지 대학에 진학한 뒤 한국 유학까지 온 베트남 출신 대학생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부산외대 한국어문화학부 3학년 삼티완 씨. 베트남 타이응웬대에서 2년간 한국어를 공부하고 올해초 교환학생으로 2년 과정의 유학을 왔다.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언니와 오빠는 중학교까지만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돈벌이에 나섰지만 막내인 삼티완 씨만은 공부를 계속할 수 있도록 가족이 적극적으로 지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대학 입시에서 한차례 고배를 마신 그는 베트남 삼성전자에 취직했고 2년간 돈을 벌어 지난 2016년 타이응웬대 한국어학과에 입학했다.

삼티완 씨가 한국어를 전공으로 선택한 결정적인 이유는 자신이 일하던 베트남 삼성전자에 다시 취직하고 싶다는 희망 때문이었다.

그는 최근 부산외대 학보에 실린 글에서 "2년간 삼성에서 일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고, 삼성이라는 회사에 대해서도 알게 됐다"면서 "새로운 지식을 더 쌓아 새로운 지위로 삼성으로 돌아올 것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특히 "삼성에 입사하고 싶은 이유 중 하나는 삼성에 다닐 때 만난 리더 때문"이라면서 "업무뿐만 아니라 직장생활, 사회생활 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많은 것을 알려준 그 리더처럼 다시 삼성에서 일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부산외대 신선종 교수는 10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삼티완 씨의 성장 과정은 우리나라 1960~70년대와 비슷해서 대학 내에서도 사연이 더욱 화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 베트남법인 관계자는 "베트남에서는 한국어를 잘하는 현지인이 통역 요원으로 인력 수요가 많은 상황"이라면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일하면서도 회사에 대한 애정을 가진 데 대해 감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 유학하며 한국어를 배운 베트남인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재입사를 원할 경우 관심을 갖고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human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