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오래 전 ‘이날’]6월11일 빼앗긴 노약자석엔 봄이 왔지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59년부터 2009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99년 6월11일 빼앗긴 노약자석엔 봄이 왔지만

경향신문

1999년 6월11일 경향신문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에 빠진 적이 있을 겁니다. 저기 서계신 어르신에게 내 자리를 양보할까 말까 하고요. 때론 이런 유혹도 느끼지 않으시나요? ‘텅 비어있는 저 노약자석, 앉고 싶다!’

지금이야 승객이 빽빽한 만원지하철에서도 어르신이나 몸이 아픈 이들을 위해 비워둔 노약자석을 보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20년 전만 해도 그렇지 않았습니다. 1999년 6월 11일 경향신문에는 “젊은이에게 빼앗긴 ‘노약자석’”이란 제목의 기사가 실렸는데요. 기사는 “요즘 지하철에서 노약자를 보고도 태연히 앉아가는 젊은이들을 보고 혀를 차며 속으로만 불만을 삭이는 노인들이 많다”며 이선경 할아버지(당시 82세)의 이야기를 소개했습니다.

할아버지는 전날 오전 용산에서 1호선을 타고 경동시장에 한약재를 사러 나섰습니다. 하지만 좌석에 앉는 대신 출입구 입구 철제 난간에 몸을 기댄 채 지긋이 눈을 감고 서있었는데요. 할아버지는 “자리를 선뜻 양보해주는 젊은이도 적지 않지만 노인이 타는 것을 보는 순간 고개를 돌려버리거나 자는 체하는 사람들이 많다. 젊은이들 앞에 서 있으면 자리를 내놓으라고 시위하는 생각이 들어 아예 입구에 서 있는 것이 버릇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노약자석이 한국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92년입니다. 이후 7년이 지났지만 전동차 내 노약자석에는 젊은 사람들이 진을 치고 있기 일쑤였다고 합니다. 기사는 그 원인이 젊은이들의 낮은 참여 의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자리양보를 장려하는 안내방송이 중단된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했습니다.

20년이 흐른 지금은 어떨까요. 2019년 현재 지하철 전동차 내 노약자석은 자리를 잡았습니다. 출퇴근길 승객으로 가득찬 객실에서도 노약자를 위해 비워진 노약자석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대신 새로운 이슈가 생겼죠. 바로 ‘임산부 배려석’입니다.

경향신문

서울 지하철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 2015년부터 기존 좌석과 확연히 구별되도록 핑크색을 입혔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 배려석이 한국에 처음 생긴 것은 2012년입니다. 대전도시철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전동차 내 임산부 배려석을 만들었습니다. 이듬해인 2013년 서울 지하철에도 임산부들을 위한 좌석이 마련됐죠. 2015년에는 서울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이 눈에 확 띄는 핑크색으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자리가 없어도 비워두는 게 당연해진 노약자석과 달리 임산부석에 대한 이해와 배려는 여전히 부족합니다.

양보는커녕 임산부 배려석을 혐오 범죄의 대상으로 삼는 일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서울 지하철 4호선의 한 전동차 객실에서 임산부 배려석 위에 붙은 임산부 그림에 ‘X’자가 크게 쳐진 것이 발견됐습니다. 해당 낙서는 이미 지난해부터 수차례 반복된 것이라고 합니다.

[관련뉴스]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X’ 낙서···임산부 ‘혐오’?

경향신문

부산도시철도가 2017년 지하철 3호선 모든 차량에 설치한 임산부 배려 좌석 알리미 ‘핑크라이트’. 부산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이젠 첨단 기술까지 동원되고 있습니다. 부산도시철도는 2017년 말 임산부를 위한 배려 좌석 알리미 ‘핑크라이트’를 지하철 3호선 모든 차량에 설치했는데요. 열쇠고리 모양의 발신기(비콘)를 지닌 임산부가 전동차에 오르면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핑크라이트 수신기에서 비콘 신호를 감지, 불빛과 음성안내로 임산부 탑승을 알리는 방식입니다. 임산부라는 사실을 애써 알리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리를 양보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죠. 지난해 9월에는 1호선까지 이를 확대했습니다.

노약자석이 자리잡은 것처럼 임산부들도 자연스럽게 배려받을 수 있는 날이 올까요? 임산부 배려석이 2012년 처음 생겼으니 노약자석과 같은 속도라면 앞으로 10년도 더 걸릴 텐데요. 임산부들이 눈치보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날이 하루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최민지 기자 ming@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