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1인가구 늘며 줄어드는 채소소비…정부, 대응TF 운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농식품부, 8월까지 채소산업발전기획단 운영

"1인·맞벌이가구, 가공식재료·편의식품 선호"

연말까지 수급안정·유통구조개선책 마련 계획

뉴시스

【세종=뉴시스】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10일 오후 2시께 열린 '채소산업발전기획단' 1차 킥오프(kick-off)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9.06.10. (사진 = 농식품부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장서우 기자 = 1인 가구 증가, 온라인 거래 확대 등으로 채소 소비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수급 안정, 유통 구조 개선 등을 포함한 '채소산업발전계획'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달부터 오는 8월까지 한시적으로 '채소산업발전기획단(TF)'을 구성·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0일 업무담당자·학계·업계·생산자단체 등 40여명이 참석한 1차 킥오프(kick-off) 회의가 열렸다.

통계청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기준 1인가구는 총 562만가구로 전체 가구의 28.6%를 차지한다. 맞벌이 가구는 533만 가구로 비중이 45%에 달한다. 1인·맞벌이 가구가 늘면서 편의를 중요시하는 소비 경향이 확산됐고, 이에 신선 채소류의 공급 과잉이 지속되고 있다고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 변화에 대한 대응 없이 농산물의 관행적 재배가 지속되면서 과잉 생산으로 인한 산지 격리가 연례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만성적 공급 과잉이 구조화되지 않도록 기획단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이 기획단 단장을 맡는다. ▲생산·소비경향 분석 ▲수급 안정 ▲유통구조 개선 등 3개 팀과 자문단으로 구성됐다.

기획단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신선채소 품목별 소비 실태와 생산 구조상의 공급 과잉 여부를 분석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의 소비자패널분석 결과에 따르면 배추 구매액은 2015년 2만1943원에서 2016년 2만4275원으로 올랐다가 2017년 2만2897원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포장김치 구매액은 1만7801원에서 2만2177원, 2만6170원으로 매년 올랐다. 김창환 농진청 연구사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 욕구가 늘면서 신선식품 보다는 가공 식재료와 편의식품 등으로 구매 형태가 변화하고 있어 신선채소류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10일 오후 2시께 열린 '채소산업발전기획단' 1차 킥오프(kick-off)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9.06.10. (사진 = 농식품부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획단은 연말까지 수급 안정과 유통 구조 개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수급 안정 정책의 한계를 분석하고 지방자치단체, 농업인 등 생산자의 자율적 수급 조절을 제도화하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재정 투입에도 불구하고 정부 정책의 성과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채소 수출이 국내 과잉 물량을 '밀어내기' 형태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수출국의 수급상황 분석을 거쳐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농산물을 수출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생산자가 가격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대안적 유통 경로 확대 방안도 마련한다. 로컬푸드·공공급식이나 수요자와 공급자가 고정가격으로 거래하는 유통경로를 확대해 채소류 가격 안정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신유통연구원의 송정환 부원장은 "식품 기업의 수입 농산물 사용 비중이 높은 상황을 감안할 때 생산자와 식품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국산 농산물의 장기 고정가격 계약 체결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획단 단장을 맡은 이 차관은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모두 테이블에 올려놓고 원점에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suwu@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